신세계(004170) 그룹이 4조원 규모로 몸값이 상승한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 빌딩 4개동 및 IFC몰 인수전에 뛰어든다. 약 8만5,400㎡(25만8,335평) 규모에 달하는 IFC몰을 스타필드로 재개장해 여의도에서 ‘더 현대 서울’과 유통 대전을 계획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부동산 개발 관계사 등을 통해 최근 이지스자산운용이 추진 중인 여의도 IFC 인수에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여의도 IFC를 보유한 캐나다의 브룩필드자산운용은 오는 14일 이지스자산운용 등 5개 부동산 투자업체들을 상대로 2차 본입찰을 실시할 예정이다.
신세계그룹은 스타필드 운영으로 부동산 투자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는 신세계프라퍼티를 앞세워 여의도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더현대 서울에 대항할 대형 쇼핑센터를 개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신세계프라퍼티는 지난해 옛 르네상스호텔 부지인 강남 역삼역 부근에 센터필드를 소유한 이지스자산운용의 펀드 지분 25%를 3,600억원에 사들인 바 있는데 여의도 IFC 투자도 유사한 방식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신세계는 이지스운용의 펀드에 투자한 후 역삼 센터필드를 선보인 바 있으며 지난 2017년에는 코엑스몰 인수에 성공, 코엑스 스타필드로 재개장하기도 했다. 이지스운용 입장에서도 IFC몰에 몰려 있는 수많은 점포들의 원활한 관리·운영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려면 신세계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번 IFC 빌딩 인수에는 오피스 건물인 3개동 뿐 아니라 콘래드호텔 건물도 포함돼 있어 이지스운용 컨소시엄이 인수하게 될 경우 콘래드가 신세계 그룹이 운영하는 조선호텔 브랜드로 바뀔 가능성도 제기된다. ‘레스케이프’라는 독자 브랜드를 선보이는 등 호텔 사업에 관심이 큰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의 의지가 IFC 인수전 참여에 크게 작용한 것도 이런 측면이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호텔 브랜드 로열티 계약은 힐튼측과 20년 이상 장기로 맺어져 중도 파기시 페널티를 내야 하지만 이번 딜에서는 매입 시 호텔 브랜드 변경이 가능하다는 조항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IB업계의 한 핵심 관계자는 “IFC 빌딩에 공실이 거의 없는 데다 신세계의 주력 사업인 쇼핑몰과 호텔까지 거느릴 수 있어 인수전에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 면서 "IFC가 여의도의 랜드마크여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신세계가)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달 1차 입찰에서 4조 3,000억 원에 달하는 몸값이 제시될 만큼 IFC의 인수가격이 높아진 것은 신세계를 포함한 이지스측 컨소시엄에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IFC의 인수가격이 치솟자 적잖은 해외 큰 손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였지만 선뜻 입찰에 참여하지 못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또 이지스·신세계 컨소시엄이 여의도 IFC를 품으려면 현재 가장 강력한 인수 후보로 꼽히는 싱가포르계 투자사인 ARA코리아자산운용을 넘어야 한다. ARA운용은 이전에 서울스퀘어(9,880억 원)나 파크원 타워2(9,500억 원) 등 서울의 랜드마크 빌딩을 잇따라 인수한 바 있다. 당초 매도자인 브룩필드자산운용이 외국계 투자사를 염두에 두고 매각을 준비했던 만큼 ARA운용에 우호적인 측면이 있다.
이와함께 포시즌스호텔을 운영하면서 생명보험·자산운용사 등 자금력이 좋은 금융 계열사들을 거느린 미래에셋맵스리츠도 강력한 경쟁자로 거론된다. 또 마스턴투자운용도 NH투자증권과 손 잡고 1차 입찰에서 4조3,000억 원에 달하는 최고가를 써내 다크호스로 떠올라 있다. 10조원 넘는 운용자산(AUM)을 굴리고 있는 코람코자산운용 역시 IFC 인수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자를 찾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동산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브룩필드측이 제시한 희망가격은 이미 넘긴 상황이지만 입찰 참여자들의 경쟁이 심화하면 가격은 더 오를 수 있다” 면서 "국내에선 전례를 찾기 힘든 ‘메가 딜’인만큼 가격 이상으로 실제 자금 조달력이 중요한 평가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