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란듯…美 대사대리 “한국하면 떠오르는 건 한복”

크리스토퍼 델 코르소 주한 미국대사 대리 트위터 캡처


베이징 동계올림픽 ‘한복 논란’ 등으로 반중 여론이 거센 가운데 주한 미국대사 대리가 8일 한복이 한국의 문화임을 강조하는 글을 올려 눈길을 끌었다.


아날 크리스토퍼 델 코르소 주한 미국대사 대리는 자신의 트위터에 “한국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김치, K팝, K드라마…한복은 말할 것도 없죠”라고 적었다. 한국과 영어, 두 가지 언어로 작성한 글이었다.


코르소 대사 대리는 한복을 입은 자신의 사진도 함께 첨부했다. ‘한국의 원조 한복’이라는 의미의 해시태그(#OriginalHanbokFromKorea)도 달았다.


이는 지난 4일 열린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조선족 여성이 중국 국기를 전달하는 민족대표 중 한 명으로 등장한 것을 염두에 둔 글로 보인다.


전 세계에 생중계되는 올림픽 개막식에서 한국 고유 의상인 한복을 중국 소수민족 전통 의상으로 내세웠단 점에서 한국 내에선 ‘중국의 문화 침탈 시도’라는 반발이 고조되고 있다. 쇼트트랙 편파 판정 논란과 겹쳐 한복 사태는 전방위적인 반중 정서로 격화하고 있다.


한편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개막 행사에서 중국이 한복을 자국 소수민족 의상으로 보이게끔 공연한 것에 대해 “중국 측에서는 조선족이 소수 민족 중 하나라고 한 건데, 양국 관계에 오해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혀 논란이 된 바 있다.


그는 베이징 시내 메인 미디어센터를 방문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소수 민족'이라는 표현은 그 민족이 하나의 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경우를 주로 말한다”면서 “한국은 (중국) 바로 옆에 세계 10위권 큰 나라로 존재하고 있는데 양국 간 좋은 관계에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측은 주무 부처인 문체부 장관이 한복 차림으로 현장 참관을 하고도 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을 거론하며 맹비난로 하며 정부의 강경한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