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發 포화에 상장 종목 10개 중 4개 52주신저가 '쇼크'

코스피 939개 중 411개 신저가 경신
코스닥 1532개 중 584개 신저가 충격

28일 오후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종가가 표시돼 있다./연합뉴스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리스크와 금리인상 압박으로 상장 종목 10개 중 4개가 52주 신저가를 경신한 것으로 파악됐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종목 2471개(올해 신규 상장 제외) 중 올해 종가 기준으로 52주 신저가를 경신한 종목 수는 모두 995개(40.3%)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선 939개 중 411개(43.7%)가 52주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이날 기준 시가총액 상위 10위 내 종목 중에선 대표적인 성장주 네이버가 지난달 24일 30만 2500원으로 신저가를 경신했다.


성장주인 카카오(035720)도 지난 1월 27일 8만 2600원까지 추락하며 신저가를 새로 썼다.


이외에도 현대차(005380)(17만3000원·2월 24일) 등 5개가 신저가를 경신했다. 의약품이 52개 종목 중 34개(65%)가 신저가를 경신하면서 업종별 비중이 가장 컸다.


의약품 업종의 부진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움직임이 빨라졌고, 위드코로나가 임박함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코스닥시장에서 올해 신저가를 경신한 종목은 1532개 중 584개로 38.12% 수준이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선 CJ ENM(035760)(11만9500원·1월 27일) 등 대형주도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반면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올해 52주 신고가를 경신한 종목은 191개로 7.7%에 그쳤다. 유가증권시장에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한 종목은 64개(6.8%), 코스닥시장에서는 127개(8.3%)로 각각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우리금융지주(316140)(1만5850원·2월 9일) 등 은행주가 전고점을 돌파해 새로운 기록을 썼다. 호실적과 금리 인상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큰 영향이다.


자사주를 매입한 DB하이텍(000990)(8만4천900원·1월 20일) 등도 신고가 경신 종목에 명함을 내밀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CJ프레시웨이(051500) (3만9000원·2월 16일) 등 종목이 신고가를 새로 썼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