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러시아 경제 제재에 협조하지 않을 경우 중국도 함께 제재할 방침이라고 경고했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국무부 관리는 "만약 중국이나 기타 국가가 우리 제재에 해당하는 활동에 연루되려 할 경우 그들 또한 우리 제재 대상에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의 국제결제망에서 러시아 주요 은행들을 퇴출해 무역을 타격하기로 했다. 또한 러시아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몰아내고 미국의 기술, 핵심부품 유입을 차단하는 수출규제까지 가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러시아 경제 제재 완화를 위해 공조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실제로 중국은 대러 제재에 대해 반대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SWIFT 제재에 대해 "중국은 제재를 통한 문제해결에 찬성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지난달 27일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재에 부닥친 러시아를 경제적으로 지원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보도도 나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국제여론과 그 결과물인 대러제재는 중국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WSJ은 미 당국자들은 대러제재가 중국이 대만을 공격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일종의 경고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러시아처럼 행동하면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미국 행정부가 중국 금융기관이 금융 제재로 인한 러시아 쪽의 곤란을 해결해주거나 중국 기술 기업이 대러 수출에서 제재 내용을 준수하는지 감시할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미 당국자들은 또 미국이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중러 연대를 희석하려는 목적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중국이 러시아 지원을 줄여 이번 사태에서 러시아를 더 고립시키면 양국 협력이 다른 부문에서도 약화할 것으로 분석한다. 결국 신뢰 가능한 파트너로서의 중국 지위까지 손상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앞서 러시아가 침공을 준비할 때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초청해 서방을 비판하는 공동성명까지 냈다. 그 뒤에 미국 행정부는 밀착관계 대응책을 논의했고 중국이 그 관계에 대가를 치르도록 하는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지난달 25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규탄 결의안에도 반대를 택하지 않고 인도, 아랍에미리트(UAE)와 함께 기권표를 던졌다.
하지만 이후 중국은 러시아를 두둔하는 듯한 메시지를 보내면서도 노골적인 지지 입장은 지양하고 있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국제법 준수 입장을 강조하면서도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동진 등 러시아의 입장에 공감하는 역사적 배경을 함께 거론하고 있다. 그러면서 대화를 통해 이번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는 촉구만 되풀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