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소폭 상승…'팔자>사자'는 18주째 이어져

새 정부 출범 앞두고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기대감↑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대선 이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진 영향으로 보인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둘째 주(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7.5으로 전주(87.0)보다 0.5포인트 올랐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것이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 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 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지수는 지난해 11월 15일(99.6) 100 밑으로 떨어진 후 이번 주까지 18주 연속 매도 우위 시장이 이어지고 있다.


매도 우위가 이어지고 있지만 대선 전후인 최근 2주 연속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다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공약과 부동산 세제 개편 가능성에 매수심리가 다소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 5대 권역의 매매수급지수도 모두 상향됐다.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의 아파트 수급지수가 지난주 85.7에서 금주 86.5로 가장 큰 폭(0.8포인트)의 상승을 기록했다. 서초구와 강남구, 송파구도 같은 기간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멈추고 보합세로 전환됐다.


서남권(양천·강서·구로·영등포·동작·관악구)의 지수도 지난주 89.7에서 금주 90.1로 소폭 상승했으며, 동북권(성동·광진·노원·도봉·강북구 등)의 지수는 86.5로 지난주보다 0.6포인트 올랐다. 종로·용산·중구의 도심권(85.9)과 은평·마포·서대문구의 서북권(86.8)도 지난주보다 지수가 상승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