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G20서 러 배제’ 검토…푸틴은 ‘카스피 송유관 차단’응수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한달
바이든 24일 유럽순방에서
러 하원의원 등 추가제재 발표
원유수입 금지는 포함 안될 듯
러 "송유관 가동 2개월 중단"에
국제유가 117달러까지 치솟아
美 "일부 지역선 이미 전세 역전"

22일(현지 시간) 독일 윈터하임사의 펌프가 원유를 운반하는 모습. EPA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유럽 순방 때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러시아는 유럽 등 세계 시장에 원유와 가스를 공급하는 핵심 송유관을 차단하며 응수했다. 전쟁과 그에 따른 경제 제재의 여파로 전세계 식품과 에너지 가격이 이미 치솟고 있는 가운데 양측의 추가 조치가 나오면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현지 시간)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24일 유럽 순방 때 유럽연합(EU) 회원국 및 주요 7개국(G7) 국가들과 함께 러시아에 추가 제재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구상하는 추가 제재로는 300명 이상의 러시아 두마(하원) 소속 의원들을 제재 리스트에 올리는 방법이 거론된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이 러시아의 대형 에너지 기업인 가스프롬이나 로스네프트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EU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조치도 논의되고 있지만 독일 등의 반대로 가능성은 아직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러시아를 겨냥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의 군사 배치 조정 방안을 논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 로이터통신은 G7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가 주요 20개국(G20) 회원국으로서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며 러시아를 G20에서 배제하려는 논의가 있다고 전했다.



사진 설명

러시아는 이에 질세라 송유관 차단 카드를 꺼내 들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 보도를 인용해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에서 흑해로 연결되는 카스피 파이프라인 컨소시엄의 송유관 가동을 두 달간 중단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폭풍 피해를 당한 송유관 시설을 수리한다는 이유를 들었지만 사실상 서방 제재에 대한 보복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해당 송유관 길이는 1500㎞로 카자흐스탄 서부 텡기즈 유전부터 러시아 흑해 노보로시스크항까지 연결된다. 하루 최대 140만 배럴의 석유가 공급되는 통로다. 미국 셰브런과 엑슨모빌의 석유도 이 송유관으로 운송된다. 유럽 지역 에너지 수급이라는 전략적 의미가 크기 때문에 미국은 앞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할 때도 이 송유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유를 카자흐스탄으로부터 들어오는 것으로 인증해 제재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러시아는 또 이날 앞으로 유럽 등 비우호적인 국가에 러시아산 가스를 팔 때 루블화로만 결제를 받겠다고도 발표했다.


이 같은 소식에 시장은 요동쳤다. 국제 유가는 장중 배럴당 117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FT는 "유럽의 에너지 소비 감축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국제 유가가 배럴당 평균 13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지난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후 석유 시장에 가장 큰 혼란이 올 것이라고 관측했다. 러시아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은 세계 2위 원유 수출국으로 세계 공급의 12%를 차지한다.


한편 전쟁에서는 일부 지역의 전세가 역전되는 등 러시아군의 상황이 여의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22일(현지 시간) 비공식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도시 방어에 그치지 않고 헤르손과 이지움 등 빼앗긴 지역들을 탈환하기 위해 나섰다"고 분석했다. CNN은 같은 날 “우크라이나 국방부가 키이우 서쪽에 위치한 마카이브의 통제권을 되찾았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러시아군은 음식과 연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한파에 노출돼 일부는 동상으로 전투에 참가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통신도 거의 끊겨 명령을 내리는 것조차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