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전월세대출 10명 중 6명 '카뱅'서 받았다

전월세보증금대출 잔액 10조




카카오뱅크가 전월세보증금 대출 잔액이 10조 원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공급액 기준으로는 지난 3월 말 기준 13조 원을 넘어섰다. 대상별로 보면 2018년에 출시한 일반 전월세보증금 대출이 7조 7836억 원의 대출이 실행됐다. 2020년에 선보인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공급액은 5조 8,043억 원으로 집계됐다.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은 출시 첫해에 1조 949억 원을 기록했고 2021년에는 3조 5,120억 원으로 공급액이 3배 이상 뛰었다. 지난해 전체 은행권 점유율은 금액 기준으로 64%를 차지했다.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10건 중 6~7건이 카카오뱅크에서 일어난 셈이다.


고객 연령층은 일반 전월세보증금대출의 경우 30~40대가 84.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0대 9.9%, 50대 이상 5.5%로 나타났다. 시간대로 보면 주말과 공휴일을 포함해 은행 영업시간 외 시간에 대출을 실행한 고객은 15%에 달했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동의 하에 소득, 재직, 다주택 여부 등을 전산 연결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전월세 계약서는 사진 촬영을 통해 고객이 제출하면 실제 계약 여부를 판단한다. 청년전월세보증금 대출상품은 모든 은행 중 유일하게 100% 비대면으로 이뤄지고 있다. 일반 전월세보증금 대출 상품은 만 19세 이상의 무주택 또는 부부합산 1주택 보유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2억2200만 원의 대출 한도를 제공한다.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은 무주택 청년을 위해 주택금융공사 및 시중은행이 함께 선보인 상품으로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에게 최대 1억 원까지 제공한다. 이날 기준 최저 금리는 각각 2.89%, 2.6%다. 중도상환해약금도 면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청년층,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의 주거 사다리 형성을 위해 전월세보증금대출부터 주택담보대출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갖췄다”며 “앞으로도 더 경쟁력 있는 금리와 획기적인 편의성을 바탕으로 주거 문제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