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육 등 '차세대 K푸드' 밑그림도 시급

명칭 등 가이드라인 없어 혼선
R&D 속도낼 세제 혜택도 절실

차세대 ‘K푸드’를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CJ제일제당·대상·신세계푸드 등 국내 식품 기업들은 대체육·메디푸드 등을 미래 먹거리로 지목하고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산업 초기라 국내에 제대로 된 규정이 없어 정부 주도의 구체적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나온다.







대표적 사례가 최근 등장한 대체육 논란이다. 먼저 명칭의 문제다. 현재 대체육에 대한 별도 표기법은 따로 없다. 국내 식품업계는 대체육 식품들에 ‘베러미트’ 등의 명칭을 붙이고 있지만 축산업계는 ‘고기’ ‘육(肉)’ ‘유(乳)’ ‘미트(meat)’ 등의 용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고기를 원재료로 하지 않기 때문에 ‘축산 대체 식품’으로 불러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식품업계는 소비자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정부가 대체육이 어떤 식품 유형에 속하는지 정확히 규정해줘야 한다고 호소한다. 박성권 세종대 식품생명공학과 교수는 “이해 단체 간 갈등이 지속되면 결국 대체육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만 커질 수밖에 없다”며 “대체육이라는 새 유형을 만들고 대형마트에서도 별도의 코너를 마련해 판매한다면 오히려 산업이 커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 완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대체육은 크게 콩고기로 대표되는 ‘식물성 대체육’과 ‘동물세포 배양육’으로 나뉘는데 이 중 배양육은 소나 돼지의 줄기세포를 추출해 실험실에서 배양해 만든 고기다. 세포배양을 위해 사용되는 원료 중에는 식품 외 의약용 재료도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식용 원부재료만 원료로 허용하는 규정이 있어 관련 상품 개발에 있어 글로벌 경쟁력이 뒤처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 또 배양육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 중 관할 기관이 어느 곳인지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식약처가 민관협의체를 꾸리고 푸드테크 발전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지만,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더딜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배양육 전문 기업 스페이스에프의 김병훈 대표는 “동물실험윤리위원회를 설치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관할 기관이 명확하지 않아 어디까지 연구를 해야 하는지도 제한이 없는 상황”이라며 “협의체를 통한 논의가 좀 더 활발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식품업계에서는 세제 혜택도 늘릴 필요가 있다고 호소한다. 비용을 줄여야 대체 식품 개발을 위한 투자를 더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기업의 곡물과 사료 구매 비용 지원을 위한 저리 자금 지원, 세제 감면 확대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국제 식량 시장을 주도할 미래 푸드를 개발하려면 기업의 노력에 더해 정부의 규제 정비, 금융 지원 확대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