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중심 일관된 정책·기업지원 시급"

■한국형 '스페이스X' 과제는
경제논리 매몰 땐 혁신 불가능
민간에 기술 이전해 경쟁력 UP
'누리호 키즈' 육성도 서둘러야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서성현 국립한밭대 기계공학과 교수

“국내에서는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한다는 패러다임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습니다. 기술 확보를 넘어 기업이 생산성을 갖춰 수익을 내고 전반적인 우주산업이 선진화되는 수준까지 나아가야 합니다.”


뉴스페이스 시대로의 전환에서 핵심은 우주산업을 이끌 민간 기업의 성장이다. 현재까지도 국가가 우주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민간 기업의 기술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국내 항공 우주 분야의 전문가로 손꼽히는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국내 우주 인프라가 국가 주도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집중되다 보니 혁신성을 갖춘 민간 기업을 발굴하는 노력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한국추진공학회 우주및로켓추진부문위원장을 맡았던 서성현 국립한밭대 기계공학과 교수도 “민간 기업들은 생산과 제품 개발 능력은 갖고 있지만 특정 분야에 대한 설계 능력이나 개발 경험이 모자라 민간에서 확보한 기술 수준이 높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특히 “우주산업의 경우 상업성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적극적으로 개발에 뛰어들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민간 기업이 기술 개발을 주도할 기반이 마련된다면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여기에는 국가의 적극적인 기술이전이 뒤따라야 한다. 서 교수는 “그동안 공공기관에서 우주개발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확보한 핵심 기술을 민간에 적극적으로 이전한다면 민간 업체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관성 있는 정책과 통일된 지원 기관도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서 교수는 “현재 당장 눈에 보이는 경제성 확보 논리에만 매몰되면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처럼 우주산업에서 신생 업체가 혁신성을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속적인 우주개발 공공사업에서 민간 업체가 수행할 기회를 마련하고 이들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을 때까지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우주청 설립이 절실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우주산업을 담당하는 부처·기관은 난립해 있다”며 “새로운 우주산업과 정책 전환, 민간 기업 지원 등을 진두지휘할 수 있는 우주청을 세워 통일성 있게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제시했다.


민간 기업에서 우주 기술 개발을 이끌 인재 육성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됐다. 서 교수는 “뉴스페이스로의 전환은 특정 계층, 특정 분야에서 단독으로 이뤄질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6월 2차 발사되는 누리호를 보며 우주산업에 대한 꿈을 갖고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누리호 키즈’가 많아지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