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올리기도 전에 금융채 가파른 상승…가계대출 압박


국내 은행의 대출금리 기준이 되는 금융채 금리가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기도 전에 미국의 ‘빅스텝’ 영향을 선반영하는 모습이다. 시중은행 고정 금리 대출의 상단 금리가 7%를 넘어서는 것은 ‘시간문제’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금리까지 가파르게 오르며 대출 소비자들을 압박하고 있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날 신한은행의 대출 상품 기준금리가 되는 5년 만기 금융채 금리(3영업일 평균 금리)는 전 영업일인 4일(3.5325%)보다 7.2bp(1bp=0.01%포인트) 상승한 3.6045%를 기록했다. 지난달 28일 이후 6영업일 연속 상승세다. 이 기간에 금리는 0.25%포인트 이상 올랐다. SC제일은행의 5년 만기 금융채 금리(10영업일 평균 금리) 역시 3.44%에서 3.46%로 상승했다. 국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의 금융통화위원회 정례 회의는 이달 26일 개최될 예정이지만 전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상승 영향을 선제적으로 반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채 금리가 오르면서 당장 이를 기준금리로 삼고 있는 고정 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일제히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4.02~6.09% 수준이다. 당장 금융채 금리가 오르면서 이들 고정형 대출 상품의 금리도 잇따라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변동 금리형 주담대 금리 역시 이달 15일 코픽스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전망돼 상승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코픽스 금리는 잔액 기준 1.5%, 신규 취급액 기준 1.72%다.


문제는 올해 말까지 국내 기준금리가 2%대 이상으로, 대출금리 역시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출 소비자들의 부담도 급증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국내 대출의 70%가 은행채나 코픽스와 연동되는 변동 금리 대출이라는 점은 더 부담스럽다. 아울러 금리가 가파르게 오를 경우 DSR 규제로 대출 소비자들이 받을 수 있는 대출 한도 역시 급격하게 줄어들 수 있다는 점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걱정거리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은 물론이고 DSR 규제 아래에서는 대출 규모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소비자들의 불만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