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임대, 저소득층 위한 '싸구려 주거' 프레임부터 깨야"

[건축과도시]
■허필기 해안종합건축사무소 3부문 대표
소형 위주 벗어나 30평형까지 확대
모든 계층 아우르는 주택 공급 필요

허필기 해안종합건축사무소 3부문 대표. 사진 제공=해안종합건축사무소

“좁고 작은 집 위주의 공급에서 벗어나 30평형대까지 다양한 크기의 집을 공급하는 동시에 도시 가구 평균 소득 이상의 국민도 살 수 있는 조건을 내세워 많은 평범한 국민이 임대주택에서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공공임대 100만 가구 기념 단지인 ‘화성동탄2 A4-1블록’을 설계한 허필기 해안종합건축사무소 3부문 대표는 임대주택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확장성’과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존에 공급돼온 임대주택은 주로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으로만 지어져 변화된 사회적 환경과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고 부정적 인식을 키우는 데 한몫했다는 것이다.


허 대표는 “크고 작은 다양한 집에 다양한 계층이 모여 살 수 있는 곳으로 바꿔야 한다”며 “저소득층을 위한 싸구려 주거, 가난한 자만이 산다는 프레임에서 우선 벗어나는 것이 공공임대주택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공공임대와 차별화를 시도한 화성동탄2 A4-1블록 행복주택마저도 소형 면적으로만 구성됐다. 이 단지에서 가장 넓은 가구의 면적이 전용 44㎡(방 2개)에 그친다. 어린 자녀 한 명을 키우는 신혼부부가 거주하는 데는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이후 자녀가 성장하거나 자녀 수가 늘면 이사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정부도 이러한 지적을 반영해 최근 중형 면적의 공공임대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총 14만 7000가구의 공공임대를 공급할 계획인데 올해 신규 승인하는 주택의 경우 전용 60~85㎡ 평형 비중을 늘리고 1인 가구 입주 가능 면적을 최대 36㎡(기존 18㎡)로 확대하기로 했다. 허 대표는 공공임대의 질적 개선에 따른 임대료 인상 등이 취약 계층의 부담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밀한 정책 보완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다행스러운 점은 대학생과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을 대상으로 공공임대 공급이 꾸준히 늘면서 인식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허 대표는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빅데이터 전문 기관이 진행한 조사에서 인근 임대주택 건립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60%)이 부정적인 응답(35%)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했다. 반면 미디어 등에서 재생산되는 ‘엘거(엘에이치 거지)’ ‘휴거(휴먼시아 거지)’ 등 부정적인 신조어들은 임대주택에 대한 인식 개선을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허 대표는 공공임대 등 공공 건축물이 지역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조성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대에 들어와서는 우리나라와 지역을 대표하는 이렇다 할 건축물이 없다”면서 “지역 대표성과 상징성 등이 드러나는 매력적인 건축을 통해 역사적인 유물이 될 수 있는 특별한 건축물을 위한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