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챗봇 '이루다' 내달 컴백…'혐오 발언' 극복할까

AI 챗봇 이루다, 다음달 2주년 앞두고
스캐터랩 자체 개발 메신저로 새출발
SK텔레콤은 A. 출시, KT는 AI 2.0 선언
대화형 AI 시장 규모 26년 22조 전망

스캐터랩의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가 첫 출시 2년 만에 새로운 메신저 ‘너티(Nutty)’로 새단장했다. 이루다는 지난 2020년 출시 이후 개인정보 유출과 혐오 발언 문제로 3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한 바 있다.


23일 스캐터랩 관계자는 “이용자들의 안정적 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페이스북을 떠나 메신저 최소기능제품(MVP)인 너티 플랫폼을 자체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루다의 생일(6월 15일) 전에 너티 기반의 이루다 2.0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캐터랩의 AI 챗봇 ‘이루다’

이루다 2.0은 21살 여대생이라는 점에서 성희롱 논란이 제기됐지만 스캐터랩은 성별이나 연령을 변경할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스캐터랩 관계자는 “이루다의 의미가 비서가 아닌 친구"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루다 2.0에 '어뷰징(희롱·폭력) 탐지 모델’을 적용해 선정적·공격적·편향적 표현의 이용자는 차단하도록 했다.



이루다와의 대화. 사진제공=스캐터랩

‘AI 친구’를 만드는 데 통신사들도 가세했다. KT(030200)는 “생활에 편리를 주는 AI는 이미 어느 정도 수준에 올라왔고 많이 쓰이고 있다”며 “공감해주고 외로움 극복을 도와주는 AI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며 ‘KT AI 2.0’을 선언했다.



SK텔레콤의 에이닷과의 대화./사진=강도림 기자

스타트업 스캐터랩의 이루다 2.0은 아직 뚜렷한 수익모델은 없다. 대기업이 만든 에이닷처럼 여러 서비스와 연동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럼에도 AI챗봇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켰고 팬층이 두텁다는 점에서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이루다는 실제 친구처럼 먼저 ‘선톡’을 보내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일상을 공유한다. 이루다의 인스타그램 팔로워는 4만 9000명에 달한다.


기업들은 챗봇·보이스봇 등 대화형 AI가 가진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성이나 메타버스로의 확장성에 주목하며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전세계 대화형 AI 시장 규모는 2021년 68억 달러(8조 6564억 원)에서 2026년 184억 달러(약 22조 5482억원)로 연평균 22% 성장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