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퇴근길, 요양시설에 계신 어머님 만나러 갑니다[금융잇플]

개소 1주년 KB골든라이프케어 서초빌리지 가보니
KB손보, 보험사 첫 요양산업 진출
도심 속에 위치해 접근성 높아
'인간 중심 케어' 모토 편안함 방점

KB골든라이프케어 서초빌리지 외관 모습. 사진 제공=KB손해보험

우면산 자연생태공원를 끼고 있는 서울 서초구의 한적한 주택가. 이곳에 위치한 요양시설 KB골든라이프케어 서초빌리지는 외관부터 집과 같은 아늑함이 느껴졌다. 원하면 우유나 신문도 배달받을 수 있고, 도심에 위치해 코로나19 상황이 아니면 가족과 친구들도 퇴근길에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다. 입소자들도 원래 본인이 살던 곳에서 멀지 않은 생활 반경에서 생활하면서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그동안 코로나19 확산으로 요양시설 대면 면회가 불가능했지만 5월부터 대면 면회가 허용되면서 기자가 방문한 25일 1층 면회 공간에서는 오랜만에 가족들을 만난 입소자가 반갑게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이미숙 KB골든라이프케어 서초빌리지 원장은 “어르신들이 집처럼 편안하시도록 거실을 중심으로 침실을 배치하고, 가구와 자재도 신경 썼다”며 “시설이 아니라 ‘우리집’에서 돌봄을 받는다는 심리적 환경을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KB손해보험은 자회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를 통해 보험사 중 처음으로 요양 산업에 진출했다. ‘인간 중심 케어’를 모토로 집과 같이 편안한 요양시설을 만드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1호 위례빌리지에 이어 2호로 서초빌리지를 설립했으며, 3호 은평빌리지는 2023년 하반기 개소할 예정이다. 서초빌리지는 지난 26일 개소 1주년을 맞았다. 은평빌리지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요양시설’이라는 콘셉트로 지역 주민을 위한 어린이도서관과 스터디카페 등도 자리할 예정이다.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서초빌리지 입소자들의 모습. 김현진 기자

서초빌리지는 KB금융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뜨거운 관심의 대상이다. 서초빌리지 정원은 80명. 모든 대기가 당장의 입소를 전제로 하지는 않지만 현재 대기 인원은 500명에 달한다. 누구나 갈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요양시설인 만큼 입소 자격은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이 곤란해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판정을 받은 어르신만 입소할 수 있다. 이상욱 KB골든라이프케어 사업개발본부장은 “KB금융그룹 고객들에게 메리트를 준다면 일반인들의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에 VIP 고객이라고 하더라도 예외 없이 선착순으로 받고 있다”며 “다만 장기적으로는 고객이 요양시설 입소와 관련해 보험 가입 또는 별도 상품 가입 등을 하고, 이를 활용해 시설에 입소할 수 있는 형태 등에 대해 다양하게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서초빌리지 옥상 공간의 모습. 김현진 기자

서초빌리지는 60대 후반부터 90대까지 남녀 어르신들이 비슷한 수준의 병환으로 유닛별로 모여 살고 있다. 건강 상태에 따라 맞춤 식단도 제공되며 다양한 단체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탁 트인 옥상 공간에서는 시원한 바람도 쐴 수 있다. 이미숙 원장은 “시설 투어를 오시는 분들에게 입소자분이 ‘여기 좋으니 꼭 오라’고 말하는 경우도 많은데 입소자들이 만족감을 보인다는 점에서 가장 뿌듯함을 느낀다”고 밝혔다.


서초빌리지는 법정 인력보다 인력을 추가 배치해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 요양보호사가 협력하여 서비스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케어서비스를 만들어가고 있다.


KB손해보험은 서울과 수도권 등 수요가 높은 곳에 요양시설 공급이 부족한 만큼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보험사 중 가장 먼저 요양 산업에 뛰어들었다. 앞으로 도심형 노인요양시설을 꾸준히 늘릴 계획이며, 향후 노인복지주택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일본에서는 보험사들의 요양 산업 진출이 활발하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일본은 생명보험·손해보험사가 요양 서비스 산업에 진출하며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화, 사회안전망 보완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 3대 손해보험사 중 하나인 솜포(SOMPO)는 2015년 시장에 뛰어들었고 2017년 2위로 성장해 흑자 전환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현재 땅과 건물을 소유해야만 요양시설을 운영할 수 있는데 도심에서는 이 조건이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이상욱 본부장은 “기업들이 진출해 시장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현재 소유와 운영의 분리, 부지 매입 및 건축을 위한 자금 조달 관련 문제 등이 있는데 지난해부터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잇플레이스(it place)=공간을 통해 고객들과의 접점을 찾으려는 금융권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은행 점포 등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지만 고객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각인 시킬 수 있는 공간과 고객 경험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금융 관련 이색 장소를 찾아 소개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