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폭 줄었지만…韓가계 빚, 여전히 GDP 대비 '세계 1위'

올 1분기 기준 104.3%
기업 부채는 증가 속도 2위

서울 시내의 한 새마을금고에 부착된 대출 안내문.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가 국가 경제 규모(GDP)를 고려할 때 주요 36개국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6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세계 36개 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104.3%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레바논(97.8%), 홍콩(95.3%), 태국(89.7%), 영국(83.9%), 미국(76.1%), 말레이시아(72.8%), 중국(62.1%), 일본(59.7%), 유로 지역(59.6%)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만 가계 부채가 GDP를 웃돈 것이다.


1년 전인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한국의 가계 부채 비율은 105.0%에서 104.3%로 0.7%포인트(p) 낮아졌다.


하지만 한국의 하락 폭(0.7%포인트)은 영국(7.2%포인트), 미국(4.7%포인트), 일본(4.6%포인트), 유로지역(2.9%포인트) 등과 비교해 뚜렷하게 작았다.


경제 규모를 고려한 우리나라 기업의 부채 비율이나 증가 속도도 최상위권이었다. GDP 대비 한국 비금융기업의 부채 비율은 1분기 현재 116.8%로 홍콩(281.6%), 레바논(223.6%), 싱가포르(163.7%), 중국(156.6%), 베트남(140.2%), 일본(118.7%)에 이어 일곱 번째였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부채 비율은 1년 사이 5.5%포인트(111.3→116.8%)나 뛰었는데 이런 상승 폭은 베트남(129.3→140.2%·+10.9%포인트)에 이어 36개국 가운데 두 번째로 컸다.


다만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4.6%)은 25위, 1년 간 정부 부채 비율 증가 속도(45.8→44.6%·-1.2%포인트)는 15위로 중위권이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