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상징성·팬덤이 성공 필수조건”

'블록체인 전문가' 김승주 고려대 교수, NDC서 강연
국내 게임사 단순히 NFT만 붙여
너도나도 시장 진출…의미 없어
"콘텐츠 힘 가지려면 역사성 필요
팬덤 계속 유지해야 가치도 지켜"







“대체불가토큰(NFT) 사업이 성공하려면 NFT를 붙인 콘텐츠를 기꺼이 사줄 수 있는 강력한 팬덤이 있어야 합니다. 팬덤을 어떻게 만들고 유지시킬지 고민한다면 우리나라 같은 콘텐츠 강국에서 좋은 비즈니스 모델이 나올 것입니다.”


암호학과 블록체인 분야 전문가인 김승주(사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10일 넥슨개발자콘퍼런스(NDC) 온라인 강연에서 “국내 게임사들이 NFT 게임 시장에 너도나도 진출한다고 하지만 단순히 NFT만 붙이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암호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김 교수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 서울시 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보안 권위자다.


김 교수는 강연에서 NFT를 활용한 사업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으로 상징성·역사성과 강력한 팬덤을 꼽았다. 그는 ‘크립토키티’의 사례를 언급하며 “NFT 표준인 ‘ERC-721’을 적용한 최초의 게임으로 일종의 역사성을 가지고 있다”면서 “우리 게임사들은 게임 아이템에 NFT를 붙인다고만 이야기하는데 어떤 상징성이 없는 만큼 주가가 잠깐 올랐다 바로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콘텐츠가 힘을 가지려면 상징성과 역사성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크립토키티도 게임 자체만으로는 큰 재미가 없었지만 ‘최초’라는 역사성이 부여되면서 콘텐츠에 힘이 생기고 팬덤이 구축된 것”이라며 “이런 팬덤을 한번 만든 뒤 유지할 수 있어야 NFT의 가치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명품 시장 등 다양한 분야의 NFT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근 명품 업체들은 품질보증서를 NFT로 대체하고 있다. 그는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중고 시장을 통제하고 ‘짝퉁’이 유통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라며 “미술품에 NFT를 붙일 경우 매매 이력이 남아 2차·3차·4차로 매매되더라도 원작자가 로열티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타버스와 NFT의 결합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은 미래에 굵직굵직한 메타버스 6∼7개 정도만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면 우리는 각각의 메타버스마다 아바타를 만들 필요가 없고 해외여행을 다니듯 자기 아바타를 가지고 넘나들 거라고 본다”고 전망했다.


이어 “과거 유행한 싸이월드 같은 메타버스에서 이용자들은 단순한 소비자였다. 그러나 로블록스 등에서는 이용자가 게임을 제작해 수익을 내고, 이를 회사와 나눠 가질 수 있다. 이용자가 소비자 겸 생산자인 프로슈머가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