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7% 되면 서울 30평 아파트 월 상환액 82만원 늘어난다

209만원→291만원…40% 뛰어
도시가구 가처분 소득 70% 육박
금리인상 지속땐 가계 부담 과중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까지 오를 경우 서울 중형 아파트를 대출로 구입한 직장인의 월 상환액이 40% 가까이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직방 분석에 따르면 서울 중형 아파트(전용면적 84㎡)를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상한으로 대출받아 구입한 경우 대출금리가 현재 4% 수준에서 7%로 상승하면 월 상환액은 209만 원에서 291만 원으로 82만 원(39.2%) 늘어난다. 이때 아파트 가격은 서울 전용 84㎡ 평균 매매가격인 12억 8582만 원, 대출액은 LTV 상한(9억 원까지 40%, 초과 금액 20%)인 4억 3716만 원으로 계산했다.






특히 대출금리가 7%가 되면 아파트 대출금을 갚는 데만 가처분소득의 70% 가까이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2021년 전국 도시 근로자 가구 평균 가처분소득 418만 9000원을 적용하면 대출금리가 4%일 때는 소득 대비 대출 상환액 비율이 49.9%이지만 금리가 7%까지 오르면 이 비율은 69.5%로 대폭 늘어난다.


이 같은 흐름은 서울 전체로 봐도 비슷하다.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 6156만 원으로 LTV 상한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대출금은 3억 9231만이다. 이 경우 대출금리가 7% 까지 상승하면 월 상환액이 261만 원이 돼 4% 금리에서의 상환액(187만 원)보다 39.6% 증가한다. 도시 가구 가처분소득 대비 대출 상환 비율 역시 44.6%에서 62.3%로 급증한다.


직방은 향후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경우 현재 소득 수준 대비 아파트 금융 비용이 가계에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미국발 금리 상승으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이는 아파트 매입 수요 및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저금리 상황에서 세웠던 주택 구매 계획을 금리 인상 시기에 맞춰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