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韓은 속국”, 가벼운 말 아니다… 동북공정 때보다 심각”

동북아역사재단 ‘동북공정 20년 평가’ 학술회의
“중국 역사가 세계 최고라는 자부심이
공산당에 대한 충성으로 승화하길 원해”
“기씨조선·부여·고구려 등 중국 속국 규정
역사·문화 둘러싼 한중간 갈등 심화될 것”

동북아역사재단이 17일 재단 대회의실에서 ‘동북공정 20년 평가와 과제’ 학술회의를 갖고 있다./사진제공=동북아역사재단

시진핑 정부 들어 중국의 동북아 역사 왜곡 작업이 이전의 동북공정 때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이 되면서 한중 갈등도 더 심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재단이 17일 개최한 ‘동북공정 20년 평가와 과제’ 학술회의 발표문에서 “5년짜리 동북공정 프로젝트는 종료됐지만, 중국의 영토 중심적 사관에 근거한 왜곡된 한국사 인식은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동북공정은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주도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추진됐다.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으로 구성된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지리, 민족, 강역 문제를 연구했다.


김 연구위원은 “시진핑은 ‘일대일로’ 정책과 세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중화문명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널리 현창하고 아울러 여러 분야에서 중국적 표준을 만들 것을 주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중국은 정치문명, 경제문명, 생태문명 등 주요 영역에서 문명대국을 지향하여 종합 문명대국을 건설하고자 한다”며 “중국인들이 자국의 역사와 문화가 세계 최고라는 자부심을 갖도록 하고 그것이 애국심으로 발현하여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 대한 믿음과 충성으로 승화화길 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시진핑이 트럼프를 만났을 때 “한국은 예전에 중국의 속국이었다”고 했다는 전언은 잘못된 소문이거나 그냥 지나가는 소리로 가볍게 한 말은 아닐 것”이라며 “이것이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진핑의 기본적인 인식이라면 기실 지금이 동북공정 시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임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진핑 집권 이후 중화 문명의 우수함을 알리려는 정책이 시행되면서 한중 갈등은 동북공정 시기보다 더 심해졌다”며 “역사와 문화를 둘러싼 양국 갈등은 이미 동북공정 차원을 넘어섰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동북공정으로 중국 역사 연구자의 지역적 외연이 넓어지고, 광범위한 자료가 모이면서 연구 기반이 확립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동북공정 초기에는 편향성 강한 사료를 채택해 정해진 이론에 끼워 맞춘 논문이 적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자료를 차분히 논증하고 분석한 글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짚었다.


중국 학계의 한국사 연구 동향에 대해서는 “고구려사 관련 연구는 줄고 고조선과 부여 관련 논문이 증가했으며, 고려와 조선 관련 연구물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며 “한국의 중국 종속성을 한국사 전체에서 부각하려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동북 지역 연구자들이 개별 연구와는 별도로 사료를 집대성한 결과물을 속속 내놓고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그가 가장 주목하는 것은 2019년 12월 발간된 ‘동북고대방국속국사연구총서’다. 2010년 중국 국가사회과학기금의 중대항목으로 선정된 연구과제의 결과물로 만주 지역에서 명멸한 여러 나라들의 역사를 중국 최초로 집대성했다. 총서는 기씨조선, 위씨조선, 부여, 고구려, 발행, 동단 등을 중앙왕조의 속국이나 일부 지역을 할거한 지방정권으로 규정한다. 김 연구위원은 “만주 지역의 역사는 모두 중국사라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입증하고자 하는 결과물”이라며 “중국 사회과학기금 과제로 선정되었다는 것은 현 중국 역사정책의 틀 안에서 정리된 중국 중앙정부의 공식적인 동북사 인식이라고 보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중국의 자민족 중심주의, 패권주의 역사관이 이미 다른 차원으로 확대된 상황에서 계속 동북공정이란 용어로 중국을 비판하면 중국 측 의도의 일부분만 보는 우를 범할 수 있다”며 연구 프로젝트 명칭인 동북공정을 본래 개념으로만 한정해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또 중국의 한국사 왜곡에 대응해 한국 학계도 독자적인 이론과 용어를 설정하고, 고조선·고구려 등 북방사 연구를 체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부여, 북옥저, 숙신, 읍루, 말갈, 거란, 여진, 몽골, 조선족 등을 한국사적 시각에서 정리하고, 한반도 북쪽 지역의 지리와 문화 연구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술회의에서는 연구자들이 중국 학계의 고조선·부여사, 고구려사, 발해사, 백제사 연구 현황을 평가하고, 백두산 역사와 문화를 중국 시각으로 해석한 ‘창바이산문화론’ 등을 고찰했다. 동북공정 전후 중국 역사교과서를 분석한 우성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새로운 중국 국정 교과서에서는 중국 중심 팽창주의가 고조될 가능성이 크다”며 양국 학계 교류를 통해 역사 갈등을 해결할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영호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은 “동북공정 이후 우리 역사에 대한 침해는 다방면으로 확산하고 내용은 근거 없이 강경해졌다”며 “이른바 ‘중화’ 중심 역사 서술은 한국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평화와 공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학술회의 성과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등에서도 울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