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불꺼진 새 아파트…이유는 "세입자 못 구해서"

주산연, 미입주 사유 조사 결과
5월 세입자 미확보 35%로 1위
1월 17%서 매달 비중도 늘어
전국 입주율은 소폭 증가 82%


최근 입주를 시작한 새 아파트 단지에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집을 비워둔 가구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지난달 전국 아파트 미입주 사유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세입자 미확보’라는 응답이 35.2%로 1위를 기록했다. 이는 4월(24.5%)보다 10.7%포인트 급등한 수치다. 미입주 사유 가운데 세입자 미확보 비중은 올해 1월 17.5%에서 2월 20.8%, 3월 22.6%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전세 세입자를 받아 잔금을 치르려는 수분양자들이 전셋값 급등과 전세대출 금리 상승으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 밖에 미입주 사유로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31.5%)’ ‘잔금 대출 미확보(29.6%)’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5월 아파트 전국 입주율은 82.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8.9%에서 89.4%로 0.5%포인트 오른 반면 6대 광역시는 83.8%에서 82.9%로 0.9%포인트 떨어졌다.


전국 입주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낮아지고 있다. 6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2.6으로 지난달(85.4)보다 12.8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공급자 입장에서 입주를 앞두고 있거나 입주 중인 아파트 단지의 입주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입주 여건이 양호한 것을, 이하는 그렇지 않음을 의미한다. 수도권은 20.5포인트, 광역시는 17.1포인트, 기타 지역은 6.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세종은 72.2를 기록해 전월(100)보다 27.8포인트나 하락했다.


서현승 주산연 연구원은 “입주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무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 완화 등 조치가 필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규제 완화가 이뤄져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계속되면 대출 금액이 오르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