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안나' 수지의 새로운 얼굴, 스스로 만든 전환점

'안나' 주연 배우 수지 / 사진=쿠팡플레이

처음부터 왠지 모를 자신감이 있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는 연기적 열망이 만들어낸 자신감이다. 부담감도 공존했지만 결과물로 만들어 내면 사라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렇게 온 힘을 다해 연기한 작품이 세상에 나왔고 데뷔 이래로 가장 큰 호평을 얻고 있다. 쿠팡플레이 드라마 ‘안나’로 전환점을 맞은 가수 겸 배우 수지다.


수지가 연기적 변신을 꿈꾸며 선택한 ‘안나’(감독 이주영)는 사소한 거짓말을 시작으로 다른 사람의 이름과 학력을 이용해 새 인생을 사는 유미(수지)의 이야기다. 수지는 10대 후반의 유미부터 거짓 인생을 사는 30대 후반의 안나까지 다양한 얼굴을 보여줬다.


“첫 촬영 때부터 불안감이 사라졌어요. 이미 유미가 되기 위해 대본을 분석하고 노력했기 때문에 첫 촬영에서 너무 편했거든요. 제가 유미가 된 것 같았어요. 유미로서 말하고 행동할 수 있다는 걸 느꼈죠.”


유미가 되기 위한 노력은 촬영 내내 계속됐다. 삶 속에서 연기를 하는 유미와 안나를 표현하기 위해 연기 속의 연기를 해야 했다. 자기도 모르게 거짓말이 튀어나와버리는 유미의 미묘한 감정들을 표현하려고 고민을 거듭했고, 사소한 말투도 신경 썼다. 본격적으로 가짜의 삶을 사는 안나를 연기할 때는 혼란스러웠다.


“안나는 제가 이해해야 하는 부분이 있었어요. 중후반부에는 연기를 하다가 안나가 진심인 건지 이익을 위해 이야기하는 건지 헷갈릴 정도였어요. 대본을 볼 때는 명확했는데 현장에서 리허설을 하니까 모호하고 잘 모르겠더라고요. 심리상담가에게 ‘안나는 어느 쪽에 가까울까요?’라고 물었더니 제가 생각하는 감정이 맞는 거 같다고 하더라고요. 이렇게 애매하고 모호한 채로 보는 것도 진짜 안나의 마음일 수도 있겠다 싶었죠. 그런 복잡한 마음일 때마다 혼란스럽기도 했지만 그런 식으로 극복해나갔어요.”




수지가 바라본 ‘안나’는 리플리 증후군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리플리 증후군은 스스로 지어낸 거짓말을 현실이라 믿어버리는 정신 상태를 뜻하지만, 유미는 자신이 안나인 것을 믿고 있는 게 아니라 언제 들킬지 모르는 불안감을 가진 채 거짓말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이다.


“안나는 이해가 필요한 인물 같고 나와는 다른 동떨어진 인물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안나는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모습을 보여주잖아요. 그런데 심리 상담사를 만나 자문을 구하면서 사실 우리 모두 보여주고 싶은 모습만 보여주면서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안나는 정도의 차이인 거죠. 그런 의미에서 저도 공감이 가는 지점이 많았어요.”


이주영 감독님과는 어렸을 때 유미가 어떤 환경에서 살아왔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 이 감독은 어릴 때부터 칭찬만 계속 받아왔던 아이들은 자신이 보잘것없다고 느낄 때 취약성을 느끼고, 그런 감정이 거짓말의 발단이 됐을 거라고 설명했다.


“유미는 고등학생 때부터 현실을 너무 많이 알고 있었어요. 그 나이 때 몰라도 되는 걸 갖고 싶어 하는 아이죠. 자신은 늘 사람들의 시선이 당연하고 칭찬 속에서 살아왔는데 (선생님과 연애가 발각된 일 때문에) 모멸감과 배신감을 느껴서 견딜 수 없었을 거예요.”



'안나' 스틸 / 사진=쿠팡플레이

'안나' 스틸 / 사진=쿠팡플레이

10대 후반부터 30대 후반까지 연령대를 아우르는 연기를 하는 것도 숙제였다. 30대 후반을 연기할 때는 너무 어려 보일까 걱정하기도 했다. 결국 과한 설정을 하기보다 부유해진 안나가 외모 관리에도 열중했다고 여겼다. 대신 나이가 들어갈수록 거짓말에 익숙해지고 좀 더 뻔뻔해지는 감정적 변화에 초점을 뒀다. 화려한 안나의 삶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150벌 이상의 의상을 선보이고 머릿결과 구두에 신경 썼다.


“현주(정은채)는 과감하게 색을 사용했다면 안나는 촌스러운 색이 많아요. 그러다가 진짜 안나가 되어가면서 색을 빼가면서 고급스러워지죠. 안나의 웨딩드레스는 어느 누구도 입을 것 같지 않은 거였어요. 대본에도 ‘여왕 같은 유미’라고 쓰여 있었거든요. 남편과 함께 하는 느낌보다는 나 자신의 결혼식 느낌이었어요. 세상 과한 드레스 고르려고 노력했고요. 웨딩드레스가 정말 무거워서 다음날 몸살이 날 정도였어요. 온몸에 근육통이 오더라고요. 안나로 살기 정말 힘들다고 생각했어요.”


수지를 향한 호평 중 표정 연기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거짓말로 미국 유학을 가려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신 소식을 듣고 장례식장에 찾아온 유미가 눈물이 터지며 무너지는 장면은 많은 이들의 뇌리에 박혔다. 유미가 각성하는 계기가 되는 중요한 장면이라, 수지도 촬영 전날 밤부터 긴장할 정도로 신경 썼다고.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도 슬프지만 죄인이라는 생각으로 연기했어요. 미국에 간다고 했던 유미가 모텔에 있다가 장례식장에 오면서 수많은 짐을 가지고 오잖아요. 유미의 마음처럼 짐을 다 이고 들어오는 거죠. 잘 표현할 수 있었던 거 같아요. NG 없이 한 번에 했어요.”(웃음)




칭찬에 익숙하지 않아 얼떨떨하지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이 되는 건 확실하다. 수지는 “사람들이 내게 기대하는 역할이나 얼굴에서 벗어나는 연기와 모습이 있는 것 같다. 그것 때문에 ‘안나’는 새로움이 있지 않나”라며 “그런 데서 칭찬해주는 것 같다. 작품을 선택한 것도 용기 있게 봐주는 것 같다”고 호평의 이유를 짚어봤다.


“생각보다 저의 초췌한 얼굴을 좋아하는 분들도 많아요. 그 얼굴을 만들기 위해 고단한 하루를 보내고 잠도 안 잤거든요. 뿌듯해요. 그런 얼굴이 유미를 표현할 수 있던 것 같아요. 그런 평가들이 기분이 좋아요.”


늘 최선을 다하지만 ‘안나’ 현장은 확실히 달랐다. 오로지 유미의 감정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이었다. 평소 현장 분위기를 신경 쓰는 편이었지만, 이번에는 자신만을 생각하려고 했다. 그 덕분에 유미에게 확실하게 몰입할 수 있었다.


“집에서 대본을 매일 봐도 현장에서 전혀 연습하지 않았던 톤이 나올 때가 있었어요. 그럴 때 희열을 느꼈죠. 안나는 감정적인 게 많다 보니 그런 느낌을 받을 때가 많았고요. ‘이렇게 내가 화가 많았나?’라고 생각하기도 했어요. 기분 나쁜 표정 지을 때마다 감독님도 ‘그 표정 너무 좋다. 화가 많나 봐’라고 하더라고요. 그런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현장이었어요.”




어느 때보다 한순간 한순간이 선명하게 남은 작품이다. 욕심을 많이 낸 작품이라 마음 한편 부담감도 있었지만 소중한 기억이 많다. ‘안나’를 시작하며 일기를 쓰는 습관을 들였던 게 큰 도움이 됐다.


“안나의 입장, 유미의 입장으로 일기를 썼어요. 촬영 때 느꼈던 감정을 하나도 빠짐없이 적어놨어요.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치열하게 살아왔는데 기억에 남는 순간이 많진 않더라고요. ‘안나’는 모든 순간이 기록이 돼있어서 언제든 꺼내보고 떠올려볼 수 있는 소중한 작품이 될 것 같아요.”


극 중 유미는 “마음먹은 건 다 한다”고 한다. 반면 수지는 목표를 정하지 않은 지 오래됐다. 목표를 안 정하는 게 목표가 될 정도다. 대신 예전에는 욕심을 내는 것이 이기적으로 보일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욕심을 부리는 게 책임감을 갖는 거라고 생각이 바뀌었다.


“옛날에는 하루하루를 열심히 보내자는 마인드가 컸거든요. 이제는 열심히 하겠다는 강박을 좀 덜어내고 편하고 자연스럽게 하려고 해요. 열심히 하려고만 하면 너무 힘들더라고요. 뭔가를 꽉 붙잡고 사는 게 있어서 좀 내려놓으면 편안해질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