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與, 당권경쟁 조기 점화에 임시전대·비대위 시나리오도

■이준석 대표 중징계…내분 치닫나
김용태 "윤리위 쿠데타" 당내 반발
권성동 "거친 발언 삼가라" 함구령
李, 버티기 나섰지만 '사퇴론' 무게
權 "11일 최고위 내가 주재할 것"
차기지도체제 놓고 물밑셈법 분주
권성동·김기현·안철수 등 당권 거론

중앙윤리위원회에 출석해 ‘성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해 소명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8일 국회를 나서고 있다. 성형주 기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윤리위원회로부터 사실상 당 대표직 해고 통지를 받으면서 국민의힘이 지도부 공백이라는 후폭풍에 직면했다. 이 대표는 버티기에 돌입했지만 끝내 물러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당에서는 임시 전당대회,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등 차기 지도 체제 시나리오가 흘러나오는 등 2024년 총선 공천권을 손에 넣기 위한 차기 당권 주자들의 경쟁의 서막이 올랐다.


8일 윤리위의 ‘당원권 6개월 정지’ 의결 이후 그간 물밑에서 진행되던 이 대표와 친윤계 인사들의 당권 경쟁이 표면 위로 떠올랐다.


이 대표는 당규를 근거로 삼아 “윤리위 판결에 대해 효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권한은 당 대표에 귀속된다”는 취지로 말하며 최고위원회 개최 등 당 대표 실권을 여전히 쥐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직무가 정지된 상태이고 자신이 6개월간 당 대표 직무대행을 맡는 데 당내 이견이 없다고 맞섰다. 권 원내대표는 “11일 최고위가 이 대표 없이 열리며 자신이 주재한다”고 말했다.


징계에 대한 당내 반응도 양쪽으로 갈라졌다. 김용태 최고위원은 MBC 라디오에서 “윤리위가 당원이 뽑은 당권에 대해 쿠데타를 일으켰다”며 “반란군은 토벌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당내 불만의 목소리가 팽배하자 권 원내대표는 의원들을 상대로 “과도한 해석과 거친 표현을 자제해주기를 바란다”며 “특히 익명 인터뷰는 절대 하지 말자”고 함구령을 내렸다.


‘윤핵관에 의해 기획된 윤리위’라는 일각의 주장에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터무니없다”고 반박했지만 정치권에서는 당내 주류로 발돋움한 친윤계 의원들의 의중이 녹아 있다는 시각이 많다.


이종훈 시사평론가는 “(정부 여당 지지율 하락 부담에도) 매를 맞은 김에 ‘이준석 리스크’를 빨리 해소하고 가자는 차원의 결정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강공 드라이브가 친윤계의 스타일”이라고 진단했다.


이 대표는 즉시 2030세대를 겨냥해 당원 모집을 독려하는 등 돌파구 마련에 나섰지만 끝까지 버티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 대표가 쓸 수 있는 회생 카드로 재심 청구,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등이 거론되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지는 미지수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며칠 만에 윤리위가 다른 결론을 낼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법원이 절차적 정당성을 지닌 윤리위의 판결을 뒤집고 당 대표 거취까지 정해주는 것 또한 의회주의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내부에서는 현재 ‘사고(일시적 공석)’인 대표 자리가 ‘궐위’ 상태로 바뀔 것이라고 예상하며 차기 당권 주자 후보군도 거론되고 있다. 권 원내대표, 김기현 의원, 정진석 국회부의장이 당권 주자 하마평에 올랐고 장제원 의원과 연대설이 제기된 안철수 의원도 거론된다.




차기 지도 체제로는 임시 전당대회 개최, 비대위 체제 등이 언급됐다. 임시 전당대회는 이 대표의 잔여 임기(내년 6월)까지 당 대표를 지낼 인물을 뽑는 방법이다. 궐위된 당 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이상이면 60일 이내에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는 당규에 따른 것이다. 비록 2024년 총선 공천권은 없지만 당 혼란 수습에 성공한다면 차기 전당대회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비대위 체제는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비대위원장이 당을 이끌고 내년 상반기 중 정식 전당대회를 여는 방식이다. 이때 뽑힌 대표는 임기 2년이 보장되고 총선 공천권 또한 거머쥘 수 있다. 이 방안은 권 원내대표가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당대회에 출마하려 원내대표직 취임 석 달 만에 사임하기는 정치적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권 원내대표는 11일 열릴 의원총회에서 비대위 체제가 논의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원들과 이 문제와 관련해 개별적으로 의견 교환을 한 적이 없다”고 일축했다.


향후 이 대표와 친윤계 간의 갈등이 잠잠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온다. 최 평론가는 “현시점에서는 양쪽 모두 출구전략이 필요하다. 권 원내대표가 의원들을 상대로 입단속을 한 것도 확전을 막겠다는 의지로 보인다”며 “핍박받은 정치인은 복귀가 가능하다는 것을 한국 정치사가 보여줬기 때문에 이 대표는 이번 기회를 정치적 자산으로 삼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