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지물재생센터 하수처리시설에 2028년까지 공원 조성

서울시, 시설 개선 사업 설계 착수
악취 문제 해결 위해 시설 이전·설치

난지물재생센터 하수처리시설에 2028년까지 공원 조성
난지물재생센터 시설 이전 계획도.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가 관리하는 난지물재생센터 하수처리시설에 2028년까지 나무가 우거진 면적 10만여㎡ 규모의 공원이 들어선다. 주변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던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분뇨처리시설은 주거지에서 떨어진 곳으로 이전하고 하수찌꺼기처리시설이 설치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으로 추진되는 난지물재생센터 시설 개선 사업의 설계 용역에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1987년 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덕동의 개발제한구역에 건설된 난지물재생센터는 서울 서북권과 고양시 일부 지역의 하수를 정화·처리하는 시설로 서울시가 관리하고 있다.


고양시와 주민들은 악취 등을 이유로 지속적으로 서울시에 난지물재생센터 시설 개선을 요구해왔다. 이에 시는 2012년 고양시와 중장기적 시설 개선 사업 추진에 합의했다. 후속 절차로 2025년까지 분뇨처리시설의 자하화 및 2028년까지 수처리시설의 복개공원화 추진에 대한 최종 합의가 2019년 이뤄졌다.


이번 시설 개선의 주요 내용은 하수처리시설 복개공원화, 분뇨처리시설 지하화, 하수찌꺼기처리시설 설치다. 시는 우선 면적 16만 2700㎡ 규모의 하수처리시설(1·2처리장)을 복개해 상부 일부 공간에 주민을 위한 공원과 생활체육시설 등을 만들기로 했다. 하수처리시설 공원화 작업은 2028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이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에 들어갔다. 시는 설계 시 구조물 안전진단과 토질조사 등을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 및 복개 가능 범위(하중)를 면밀히 검토한 뒤 고양시 및 난지물재생센터 주민협의회 등과 논의해 공원 시설의 규모와 용도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센터 내 동측에 있는 분뇨처리시설은 인근 주거지인 난점마을 및 덕은지구에서 거리가 더 먼 위치인 센터 내 서측 부지로 이전해 지하화하고 악취 저감 기술을 적용해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분뇨처리시설 지하화는 2025년 12월 완료를 목표로 지난달 기본설계 용역에 착수했다. 내년 6월까지 용역을 마무리한 뒤 기술제안을 통해 실시 설계와 공사를 동시에 진행할 계획이다.


하수찌꺼기처리시설 설치는 2025년 6월까지 난지물재생센터 내에 하루 130톤 규모의 하수찌꺼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악취 저감을 위해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모으고 처리하는 기술이 적용된다. 시는 당초 센터 동측 빈 건물에 처리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주거지로부터 최대한 떨어진 센터 서측 분뇨처리시설 지하화 사업부지 인근으로 위치를 변경했다. 시는 내년 6월까지 재설계를 마무리하고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시는 시설 개선 작업에 필요한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 인가를 위해 설계 단계부터 고양시, 경기도, 국토부 등 관계기관 및 주민들과 협력하고 소통한다는 방침이다. 한유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난지물재생센터 시설 개선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더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고양시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난지물재생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