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주행거리 200㎞ 그치는 전기차…‘울며 겨자 먹기’로 출시한다는데

내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제 돌입
판매량 8% 친환경車로 못 채우면
제도 본격 시행땐 기여금 물수도
車업계, 전동화 완성 전 ‘고육책’

올해 들어 브랜드 첫 전기차 모델을 내놓는 완성차 업체들이 늘고 있다. 수입차 업계에서는 도요타가 프리미엄 브랜드 렉서스를 통해 ‘UX300e’를 선보였고 BMW그룹 내 소형차 브랜드 미니(MINI)도 ‘미니 일렉트릭’을 국내에 출시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 중에서는 쌍용자동차가 전기차 코란도 이모션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들 모델 전부가 해당 브랜드의 전동화 시대 진입을 알리는 전기차로서 경쟁력을 갖췄는지에 대해서는 업계의 평가가 나뉜다. 일부 차량의 경우 해외 시장에서는 이미 몇 년 전 출시된 ‘구형’ 모델이거나 전기차 구매의 핵심 요소로 꼽히는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가 200㎞ 안팎에 그치는 등 다소 아쉽다는 평이 나온다.


일부 자동차 회사가 이 같은 선택을 하게 된 배경에는 내년부터 적용되는 무공해차 보급 목표제가 자리하고 있다. 정부는 무공해차 보급 목표에 따라 전체 판매량의 8% 이상을 무공해차(전기차·수소차)로 채우지 못한 완성차 업체에 대해 기준 미달 1대당 60만 원의 기여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기업의 과도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여금은 최대 매출액의 1%로 제한했다. 다만 완성차 업체 입장에서는 사실상의 벌금 성격인 기여금 규모를 조금이라도 줄이려면 전기차를 판매해야 하는 셈이다. 한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첫 전기차는 향후 브랜드 전동화 전략의 선두에 서는 만큼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갖춘 모델을 내놓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전기차 전환 속도를 높이려는 정부 정책에 맞춰 본격적인 전동화 전략이 시작되기 전이라도 전기차를 선보여야 한다는 부담이 커 여러 고육지책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입차뿐 아니라 한국GM과 쌍용차·르노코리아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 3사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들 업체 대부분은 내년 이후부터 전기차 판매를 본격화할 예정인 만큼 당분간은 기여금 납부를 피하기 어렵다. 한국GM은 현재 볼트EV·볼트EUV를 내놓았지만 공급 지연 등으로 판매량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코란도 이모션’을 출시한 쌍용차는 배터리 공급 문제로 전기차 생산이 사실상 멈춰선 상황이다. 정부는 완성차 업계의 현실을 반영해 무공해차에 대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하이브리드차 등 저공해차 판매를 통해 일부를 상쇄해주는 등의 ‘유연성’ 규정을 올해 3월 추가했다. 다만 국내 3사의 경우 하이브리드 모델의 비중도 높지 않아 보급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