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력이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임금 1%가 오르면 물가 0.6%가 오르는 등 고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임금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물가 상승에서 임금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19 확산 전(2009년~2019년) 8.6%였지만 코로나19(2020년~2022년 1분기)가 본격화한 이후 10.0%로 커졌다.
한경연은 분석 결과 임금이 1%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0.6% 상승한다고 밝혔다. 충격반응함부 분석을 통해 임금에 1표준편차 단위(1.2%)의 충격이 발생했을 때 인플레이션 변화를 관찰했다. 분석 결과 인플레이션의 변화는 0.7%로 나타났는데 충격의 크기를 1%로 환산하면 인플레이션 변화는 약 0.6%에 해당했다.
특히 소비자물가지수,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 생활물가지수 등 주요 물가지수는 모두 임금(명목임금)이 오르면 시차를 두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가 변동에 임금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과거에는 7~9%대를 유지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후 10%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변동에 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계량화해 측정하는 ‘역사적 요인분해 분석’ 방식으로 측정한 결과다.
임금 1% 상승 시 생산은 0.8% 감소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한국의 2016년 대비 2021년 임금상승률은 주요 5개국(한국, 미국, 일본, 독일, 영국) 중 미국(12.8%) 다음으로 높은 10.53%를 기록했다. 반면 GDP 규모와 노동생산성은 이들 국가 중 가장 저조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노동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급격한 임금인상은 생산 감소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일자리 감소와 임금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규모와 생산수준에 맞는 임금수준과 인상률이 책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