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1% 오르면 물가 0.6% 상승…"급격한 인상 자제해야"

한경연, 코로나19 전후 임금 상승 영향 분석
물가 상승에 임금 차지 비중, 8.6→10% 증가
임금 상승 속도 높지만 생산성은 오히려 감소
"생산수준 맞는 임금 인상률 책정돼야"

지난달 30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8차 전원회의에서 근로자위원들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력이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임금 1%가 오르면 물가 0.6%가 오르는 등 고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임금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물가 상승에서 임금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19 확산 전(2009년~2019년) 8.6%였지만 코로나19(2020년~2022년 1분기)가 본격화한 이후 10.0%로 커졌다.


한경연은 분석 결과 임금이 1%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0.6% 상승한다고 밝혔다. 충격반응함부 분석을 통해 임금에 1표준편차 단위(1.2%)의 충격이 발생했을 때 인플레이션 변화를 관찰했다. 분석 결과 인플레이션의 변화는 0.7%로 나타났는데 충격의 크기를 1%로 환산하면 인플레이션 변화는 약 0.6%에 해당했다.


특히 소비자물가지수,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 생활물가지수 등 주요 물가지수는 모두 임금(명목임금)이 오르면 시차를 두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가 변동에 임금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과거에는 7~9%대를 유지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후 10%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변동에 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계량화해 측정하는 ‘역사적 요인분해 분석’ 방식으로 측정한 결과다.


임금 1% 상승 시 생산은 0.8% 감소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한국의 2016년 대비 2021년 임금상승률은 주요 5개국(한국, 미국, 일본, 독일, 영국) 중 미국(12.8%) 다음으로 높은 10.53%를 기록했다. 반면 GDP 규모와 노동생산성은 이들 국가 중 가장 저조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노동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급격한 임금인상은 생산 감소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일자리 감소와 임금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규모와 생산수준에 맞는 임금수준과 인상률이 책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