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2일 “도의회가 개원을 못 하고 있는 상황이 개인적으로 이해가 잘 안 되지만 겸손한 자세로 진정성을 갖고 계속 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도지사 공관 대연회장에서 출입기자단과의 취임 첫 간담회에서 “(도와 도의회간)강대강이다. 무슨 그런 생각도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기도의회는 국민의힘과 민주당 의석수가 78대78로 같아 의장단 선출문제 등을 놓고 첨예한 갈등을 보여 개원조차 못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가 긴급편성, 제출한 추경 예산안 처리가 불투명한 상태다.
김 지사는 앞으로 우리 경제상황이 더욱 좋지 않으리라고 전망했다.
그는 “굉장히 큰 어려움이 앞으로 지금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 올 것”이라며 “저는 97년 IMF 위기를 겪었고, 2008년 국제 금융위기를 겪었다. 지금 우리 상황과 또 앞으로의 예측을 해봤을 적에 제가 한 경험 직관 조금 어떻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동물적 후각으로 얘기하면 굉장한 큰 어려움이 복합 위기가 올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인수위 단계부터 준비 하면서 경기도부터 좀 선제로 다르게 대응하자. 중앙정부나 다른 자치단체보다 우리가 본을 보이자 이런 얘기를 했는데. 지금 상황이 굉장히 안타깝다”며 의회의 빠른 정상화를 꼬집었다.
김 지사는 “(의회가)빨리 개원해서 추경 문제부터 빨리 협의했으면 좋겠다. 협의 과정에서 도의원분들이나 야당 분들이 주장하시는 요구하는 게 있으면 열린 자세로 받아들이고 수용할 거 있으면 수용하겠다”고 했다.
이어 “우리가 1조4000억원 넘게 추경안을 제출 했는 데. 그중에 1조가 국비”라며 “다시 말해 도비와 상관없이. 그 돈 쓰면 우리 지방비 매칭 해야 하고. 도의회 의견 거쳐야 한다. 지금 기다리고 있는 취약계층과 우리 도민들 계신 데 저는 이것은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빨리 처리해서 해결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도의회 야당과 대치상황 타개책에 대해 “정치적으로 풀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제가 스스로 정치교체를 주장한 사람이고 대선의 어젠다로 만든 사람”이라며 “저는 남경필도 아니고 이재명도 아니다. 원칙까지 깨면서 기존의 정치,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에서의 정치의 길을 따라가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아주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임기제공무원의 임기나 공공기관 임원의 임기는 보장해 주겠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사회가 어떤 원칙이 있어야 될 것 같다. 중앙정부의 경우와는 다른지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경기도 내에서 임기가 정해진 자리에 계신 공직자분들을 임기를 놔두고 거취를 뭐라고 할까요. 그만두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아주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임기를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재명 전 지사의 기본시리즈 정책과 관련해서 “청년기본소득, 농민기본소득은 승계하겠다고 여러 차례 말씀드렸다”며 “문화예술인들이 굉장히 열악한 환경의 분들이 많은 만큼 예술인수당을 추가해 청년기본소득(24세 대상), 농민기본소득(17개 시·군 농민 대상)처럼 제한적 범위 내에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본시리즈 명칭을 바꿀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정책의 안정성을 위해 이름을 바꾸는 것은 굉장히 신중해야 한다”며 “전임 지사가 하셨던 정책 취지에 대해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써 바꿀 생각이 없다”고 덧붙였다.
도정자문회의 의장에 도지사직인수위원장을 지낸 염태영 전 수원시장을 위촉한 것을 놓고 위인설관(爲人設官) 논란이 이는 데 대해서는 “지방행정과 분권, 시민단체나 직능단체와의 협력관계, 생각의 혁신성과 진정성 그런 것에 대해 많이 존경한 분”이라며 “정중하게 부탁했고 고맙게 수락해주셨다”고 답했다.
이어 “구색 맞추기식이 아니라 실제로 역할을 하고 기능하는 자문회의를 만들 것”이라며 “실질적인 역할을 하도록 10명 이내로 구성하고 각각의 위원께 맞는 기능과 역할을 부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소속의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과의 수도권 광역지자체 협의체 구성에 대해서는 “답을 따로 안 드리겠다. 행동으로 보여드리겠다”며 “조만간 눈으로 보시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김 지사는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달 13일 오 시장, 유 시장과 연쇄회동에서 교통·주거 등 수도권 공통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3자 대화채널 등 당적을 넘는 협력관계 구축에 합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