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욱(앞줄 왼쪽) 경희대 교수와 정재승(〃 오른쪽) KAIST 교수가 23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하우스에서 열린 우주의 조약돌 프로그램에서 참여한 중학생들과 문답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화 스페이스 허브
한화그룹의 우주 사업 총괄 조직인 ‘한화 스페이스 허브’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함께 만든 우주 영재 육성 프로젝트 ‘우주의 조약돌’ 과정이 인문학 교육부터 본격 시작했다.
24일 한화 스페이스 허브는 KAIST와 함께 지난 23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 하우스에서 정재승 KAIST 교수, 김상욱 경희대 교수와 47대 1의 경쟁률을 넘고 선발된 우주의 조약돌 1기 중학생 30명은 첫 프로그램으로 토론식 우주 문답을 진행했다.
‘우주의 조약돌’ 운영진은 우주에 대한 철학과 인문학적 소양을 키우는게 중요하다고 보고, 인문학 과정을 교육 초기에 배치했다.
정 교수는 ‘우리 뇌는 어떻게 변해왔을까’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해 ‘우리가 언젠가 우주에서 만날지 모를 우주 생명체의 뇌는 어떻게 생겼을까’에 대해 학생들과 토론했다.
이날 오후에 이어진 김 교수와 참여 중학생들과의 문답에선 작은 논쟁도 이어졌다. 김 교수는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말을 누가 반박할 수 있나요"란 질문에 류정록 상일중학교 1학년 학생은 “생각과 존재의 개념이 다른, 인공지능으로 반박할 수 있지 않을까요"라며 꼬리를 물고 문답을 이어갔다.
학생들은 다음달 열리는 2번째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에선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다윈의 식탁을 쓴 과학철학자 장대익 박사 △SF 작가 김창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직접 인공위성을 만들고 있는 황정아 박사 등과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