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25%P 올리면 소비 최대 0.15% 줄어"

한은 "내수·투자 둔화 점차 가시화"
금리상승, 취약계층에 더 큰 타격


한국은행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에 실물경제 부담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한국은행 조사국이 발표한 ‘금리 상승의 내수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을 때 민간 소비는 0.04~0.15% 축소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같은 조건에서 설비 투자는 0.07~0.15%, 건설 투자는 0.07~0.13%씩 각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금리 상승이 내수에 미치는 영향이 시차를 두고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봤다. 민간 금리가 오르면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이자 수지가 나빠지면서 소비를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서비스보다 내구재 소비가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분석이다.


설비 투자도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나면서 정보기술(IT) 제조업보다 비제조업이나 비IT 제조업의 설비 투자가 금리 상승에 더 크게 위축된다. 금리 상승 영향이 저소득·한계·과다 차입 가구에 더 크게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다만 한은은 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요 둔화와 함께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 완화라는 편익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고용 임금의 견조한 개선, IT 제조업의 대규모 투자 계획, 정부의 주택 공급 확대 기조 등도 금리 충격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