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이 지난 3년간 금리를 점차 올리면서 얻은 이익으로 임원들에게 총 1000억원 넘는 성과급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서민들의 상환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만 ‘성과급 잔치’를 계속 벌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올해 5월까지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 임원들이 수령한 성과급은 총 1083억원이었다.
이 기간에 성과급을 받은 임원은 총 1047명으로 우리은행이 455명, 신한은행 238명, 국민은행 218명, 하나은행 136명이었다. 은행별로 지급된 총 성과급은 우리은행이 347억 4000만 원, 국민은행 299억 원, 신한은행 254억 원, 하나은행 183억 원 등이었다. 국민은행의 한 임원은 2020년에만 12억 원의 성과급을 받기도 했다.
같은 해 우리은행 임원은 최대 6억 1000만 원을, 하나은행 임원은 최대 5억 원을, 신한은행 임원은 최대 3억 1100만 원을 성과급으로 각각 받았다.
해당 기간에 시중은행들은 신규 대출에 대한 금리를 꾸준히 올려 나갔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020년 5월 최저 수준인 0.50%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8월부터 상승기에 들어갔지만 시중은행들은 이를 선반영한다며 금리를 인상했다.
김 의원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서민들은 이자 상환도 어려운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성과급 잔치를 했다는 사실에 유감”이라며 “연간 10억 원이 넘는 성과급이 국민적 눈높이에 맞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연일 언론을 통해 금융권 실적이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며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대금리차 해소를 위해 금융 당국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국회에서도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은행 관계자는 “의원실에 제공한 수치는 퇴직 임원에게 지급한 장기 성과급 등을 포함한 것”이라면서 “타행과 동일한 기준으로 산정한다면 해당 기간 동안 221명에게 176억 원을 지급했으며 최대 성과급은 2억 9000만 원”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