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 코로나19 우세종인 BA.5 변이에 걸렸다가 완치됐더라도 일명 ‘켄타우로스’로 불리는 BA.2.75 변이에 다시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4일 NHK 보도에 따르면 사토 게이 도쿄대 의과학연구소 교수 등 일본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BA.5 변이에 감염된 햄스터의 혈액을 사용해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중화 항체의 움직임을 조사했다. 그 결과 BA.2.75에 대한 혈액 속 중화항체의 활동은 BA.5에 대응할 때와 비교해 12분의 1 수준에 그쳤다.
BA.5에 감염돼 생긴 중화항체가 BA.2.75에는 효과를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켄타우로스가 우세종이 될 경우 재감염률이 오르면서 현재보다 많은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 현재 국내 코로나19 재감염률은 5~6% 수준이다. 이에 대해 사토 교수는 “변이 전환이 진행됨에 따라 현재의 감염이 충분히 줄어들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켄타우로스 변이가 BA.5 변이에 비해 약해지지 않았다는 결과도 내놓았다. BA.2.75 변이의 경우 기관의 염증이나 폐의 손상을 나타내는 수치가 BA.5의 경우와 거의 유사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코로나19 백신이 켄타우로스에 대해서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켄타우로스의 특징을 재현한 바이러스를 만들고 백신 접종을 3회까지 완료한 사람의 혈액을 사용해 중화항체의 움직임을 조사한 결과, 켄타우로스에 대한 백신의 효과는 BA.2(스텔스 오미크론)와 같은 정도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국내 켄타우로스 변이는 감염 사례는 크게 늘지는 않고 있다. BA.2.75는 지난주 8건이 추가로 검출됐고 모두 해외유입 사례였다. 이에 따라 국내 BA.2.75 감염 사례는 누적 24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