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이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의 업체들보다 기술·매출 역량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들이 부진한 주요 원인으로는 정책 변화로 인한 혼란, 자금 부족 등이 꼽힌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과거 10년간 해외자원개발 사업 경험이 있는 국내 29개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자원개발 주요 기업 역량 조사’를 실시하고 이 같은 설문 결과를 밝혔다.
이 조사에서는 응답 기업의 76.5%가 10년 전보다 사내 조직과 인력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기업 4곳 중 3곳은 해외자원개발 생태계의 전반적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사업이 위축된 배경으로 국가정책과 자금 부족을 꼽았다. 다양한 외부 요인 항목 중 46.2%가 ‘국가 정책 기조의 잦은 변화’를 택했다. 내부 요인으로는 자금 조달 애로(30.8%),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부정적 전망(30.8%) 등을 골랐다.
게다가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 수준이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한참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선진 글로벌 기업 수준을 100이라고 했을 때 우리나라 기업의 역량은 절반 수준인 52.8에 불과하다고 답했다. 기업들의 95%가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가입국인 미국·일본·호주 등 선진국에 비해 개발 수준이 취약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이유로 응답 기업의 45%는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향후 전망이 부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해외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이 ‘일관성 있는 정책 기조 추진(35.2%)’이라고 답했다. 자금 지원(27.5%), 세제 지원(17.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 회수에 장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자금 지원에 대한 절실함이 크다”고 밝혔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해외자원개발은 국가 중추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10년간 소홀한 면이 있었다”며 “일관된 정책 추진과 융자 지원, 세제 혜택으로 기업이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