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제대로 살펴보고 문제가 있으면 재구조화하고, 좋은 사례가 있다면 경기도 전체 학교에도 전파할 겁니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최근 경기 수원시 경기도교육청에서 진행한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혁신학교의 도입 취지는 좋지만 목표와 목적을 달성했는지는 의문”이라면서 “마치 학교 숫자를 늘리는 것이 성과처럼 돼버렸다는 생각이 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임 교육감은 6월 1일 전국동시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진 교육감 선거에서 당선돼 첫 보수 성향 경기교육감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경기도는 그간 민선 1·2기는 김상곤 전 한신대 교수, 3·4기는 이재정 전 국회의원 등 진보 성향의 교육감들이 탄생한 탓에 ‘진보 교육의 산실’로 불려왔다.
혁신학교는 경기도에서 탄생해 전국적으로 확산한 대표적인 진보 교육 정책이다. 자율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경쟁보다는 학생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등을 기른다는 목적에서 도입됐다. 임 교육감은 취임하자마자 혁신학교 신규 지정을 중단하는 등 정책 손질에 들어갔다. 뚜렷한 성과가 없는데다 양적 확대에만 매몰된 측면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혁신학교를 도입하면서 처음 내세웠던 목표가 교육적으로 제대로 달성됐는지 여부를 제대로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를 고민했어야 하지만 숫자를 늘리는 것만이 성과처럼 돼버렸다”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틈틈이 학부모나 교사에게 혁신학교로 인한 변화를 묻고는 하는데 70% 이상은 일반 학교와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혁신학교의 도입 목적에는 공감하는 만큼 좋은 사례가 있다면 이를 전체 학교로 확산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혁신학교를 없애지는 않되 자율을 기반으로 재구조화해 ‘미래학교’라는 이름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국제바칼로레아(IB)학교, 소프트웨어 중심학교, 인공지능학교, 세계시민교육학교 등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임 교육감은 “기존 혁신학교 정책처럼 사업으로 진행해서 일부 학교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화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있다면 경기도 전체 학교에 정착시켜 나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선 후 1호로 결재한 ‘9시 등교 시간 자율화’는 임 교육감이 3대 원칙으로 내세운 ‘자율·균형·미래’ 가운데 ‘자율’과 맞닿아 있는 정책이다. 그는 “어떤 학교에서는 걸어다니는 아이들이 많아서 추운 동절기에 조금 늦게 등교하도록 할 수 있을 텐데 이조차도 마음대로 결정하지 못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등교 시간 자율화의 핵심은 학교 운영의 자율성을 키워 교육 공동체 자율 역량을 신장시키고 교육 현장의 발전 기회를 늘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교육감은 이어 “등교 시간을 자율화하라고 강제하는 것 역시 현장의 자율성을 해칠 수 있어 정책 시행 후 1년까지는 관련 통계 파악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화성시와 용인시 등 인구·학생 수가 급증한 신도시의 과대 학교, 과밀 학급 문제가 심각하다. 도내 학교 중 학급당 28명 이상의 과밀 학급은 총 1116개교로 전체 4693개교의 24%를 차지한다. 초등학교 1680명 이상, 중고등학교 1260명 이상인 과대 학교도 33개교나 된다. 임 교육감은 “근본적으로 학교 신설을 위해 거쳐야 하는 중앙투자 심사기준을 완화하는 등 행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 기준을 마련하고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과대 학교, 과밀 학급 문제를 점진적으로 해소해 나가겠다”고 역설했다.
정리=신중섭 기자 사진=오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