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임직원 1.5만명 주말에도 복구 구슬땀…최정우 “저력 보여주자”

17~18일 임직원 1만 5000명 복구 작업 투입
압연공장 배수작업 마무리 단계
최정우 회장 직접 복구작업 참여
“직원 모습·현 상황 바라보면 억장 무너져”
포스코 “강력한 방재대책 수립 덕분에 더 큰 피해 막아”

17일 최정우(오른쪽 첫 번째) 포스코그룹 회장이 침수 피해를 크게 입은 포항제철소 압연지역(후판공장) 지하에서 직원들과 함께 토사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포스코

포스코 임직원이 포항제철소를 3개월 안에 정상 가동하기 위해 주말에도 복구활동에 총력을 기울였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포스코인이 하나로 뭉치는 저력을 보여주자”며 직접 진흙과 뻘을 제거하는 복구작업에 동참했다.


18일 포스코에 따르면 주말인 전날부터 이틀간 1만 5000여명의 임직원이 포항제철소 복구작업에 투입됐다. 포스코는 6일 태풍 힌남노로 침수 피해를 입은 뒤 7일부터 본격 복구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이날까지 포스코와 그룹사, 협력사 등 총 누적 8만여명이 복구작업에 참여했다.


주말에도 지속된 복구활동으로 포항제철소 압연공장의 배수작업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고 압연지역의 전력공급은 67%가 진행됐다. 현재는 압연지역 지하시설물 진흙과 뻘 제거 작업에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 동원한 상태다. 15일 3전기강판공장이 가동된 데 이어 17일에는 2전기강판공장 일부도 가동되기 시작했다.



17일 최정우(오른쪽 첫 번째) 포스코그룹 회장이 침수 피해를 크게 입은 포항제철소 압연지역(후판공장) 지하에서 직원들과 함께 토사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포스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전날 포항제철소를 찾아 복구활동에 참여했다. 특히 냉천 범람으로 침수 피해가 컸던 압연지역 중 후판공장의 지하 설비 복구현장을 찾아 진흙과 뻘을 제거하며 복구활동에 힘을 보탰다.


최 회장은 복구활동 중 직원들과 현장에서 도시락을 나누기도 했다. 오상운 포항제철소 후판부 과장은 “복구작업을 위해 동료들과 침수 후 처음 현장을 찾았을 때 지하 설비들이 뻘로 가득차 엉망이 된 모습을 보니 눈물이 쏟아졌다. 동료 선후배들 모두 같은 심정이었다”며 “입사 이래 내 몸과 같이 조이고 닦고 한 이 설비들을 하루 빨리 복구시켜야겠다는 생각이다”라고 최 회장에 말했다.


최 회장도 “직원들의 모습과 현 상황을 바라보니 억장이 무너진다. 복구 작업 내내 가슴이 먹먹했다”며 “천재지변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국가경제 영향 최소화 위해 사명감을 가지고 복구활동을 지속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위기일 때 우리 포스코인들이 다시 한번 하나로 똘똘 뭉치는 계기가 될 것 같다. 이럴 때일수록 포스코의 저력을 보여줘야 한다”며 “복구활동 중에 언제나 안전이 최우선임을 잊지 말고 안전수칙을 준수하며 작업에 임해야 한다”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17일 포스코 직원들이 침수 피해를 크게 입은 포항제철소 압연지역(후판공장)의 지하설비를 복구하고 있다. 사진 제공=포스코

포스코는 당분간 그룹내 전 계열사가 동참해 포항제철소 복구에 매진하기로 했다. 19일부터 9월 말까지 총 3000여명의 그룹 임직원이 제철소 현장을 찾아 복구활동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한편 포스코는 힌남노가 초강력 태풍이라는 예보가 있었기에 통상적인 태풍 대비책보다 강력한 방재대책을 수립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제철소 전체 정전과 침수에 의한 2차 사고로 화재, 폭발, 인명피해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포항제철소 가동 이래 처음으로 태풍이 오기 전부터 전 공정 가동중단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취했다는 설명이다.



17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직원들이 복구활동 중간에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 제공=포스코

포스코 측은 “사전에 전 공정을 가동 중단하지 않았다면 갑작스런 정전으로 인해 고로의 송풍 설비가 멈추며 쇳물이 외부로 역류해 화재와 폭발이 발생할 수 있었다”며 “제강공장 역시 쇳물을 담는 용기인 래들이 흔들려 공장 바닥으로 유출돼 대형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압연공장에서도 가열로 내부에서 슬라브(철강 반제품)가 휘어버리고 내화물이 손상돼 장기간 조업재개가 어려워 질 수 있었다. 지하에 침수된 압연공장의 모터도 가동 중이었다면 재생 불가능한 상태로 망가져 압연공장의 복구는 기약할 수 없었을 것”이라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