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과의 사투…"몇년 걸리더라도 완치할 것"

<민간 마약치료센터 ‘경기도 다르크’ 가보니>
중독자 13명이 함께 생활하며 치료
센터장 '혼자 안되는 사람만 받는다"
환우공동체가 정상의 삶 찾기 도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경기도 다르크. 강동헌 기자

A(26) 씨는 정신병원 3곳을 전전하다 경기도 다르크(DARC)에 왔다. 5년간 엑스터시·LSD·대마초·허브·코카인 등 안 해본 마약이 없다. 주로 필로폰을 투약했다. 필로폰의 대표적인 부작용 중 하나는 망상이다. 조선족으로부터 마약을 공급받던 A 씨는 중국인들이 자신을 해치려 한다는 피해망상이 자꾸 들었다. 결국 안부를 묻는 부모의 전화에 “짱X 새X야, 뒤질래”라며 욕설을 퍼부었고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하게 됐다. 결국 제 발로 서 있지도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부모에게 사정해 겨우 다르크에 올 수 있었다.


B(25) 씨는 잠자리 상대로 만난 여성에게 필로폰을 권유받으면서 처음 마약을 접했다. 강한 도파민을 잊지 못해 이후 5년간 중독 생활을 이어갔다. 처음 1~2년간은 괜찮겠지 싶었다. 결국 대학에서 4학기나 학사 경고를 받으면서 혼자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병원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세 번의 병원 입·퇴원에도 끊지 못했다. 다르크에 온 지 11개월째. 다음 달 퇴소를 앞두고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민간 마약 재활 치료센터 경기도 다르크. 50평 남짓한 2층 단독주택 건물에는 13명의 마약 중독자들이 함께 생활하며 치료에 전념하고 있다. 마약에 빠져 산 지 40여 년, 단약한 지 15년. 자신 역시 지독한 마약 중독자였다가 겨우 평범한 삶을 되찾은 김수현(익명) 다르크 센터장은 입소자들과 함께 생활하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15년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온 김 센터장은 국내에 마약 재활 치료센터가 전무하다는 데 아쉬움을 느끼고 일본과 미국의 재활 프로그램을 차용해 다르크를 설립했다. 김 센터장은 “병원에서 이뤄지는 치료는 몸 안의 약을 빼는 디톡스 수준”이라며 “중독자들이 일상을 살 수 있도록 자립에 초점을 둔 재활 치료는 어디에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바닥을 쳐본 사람들만 받는다”며 “혼자서는 안 된다는 걸 깨달은 사람들만요”라고 말했다. 그는 다르크가 민간 후원으로 운영돼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일본의 마약 재활 치료센터는 수십 여 곳이 있지만 한국의 재활 센터는 3곳에 불과하다. 강동헌 기자

실제 법무부 지정 21개 병원 중 마약 전담 치료 시설을 갖춘 곳은 단 2곳밖에 되지 않는다. 전국에 50여 곳 있는 종합 중독 치료센터 역시 마약보다는 알코올과 담배 중독 치료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운동하기, 사람들과 소통하기. 이곳의 일과 대부분은 운동과 전문가 교육을 받는 시간을 제외하면 다같이 모여 치료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털어놓고 의지를 다지는 시간으로 구성된다. 입소자들은 이 같은 환우 공동체가 마약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고 입을 모았다. A 씨는 “갈망이 크게 올 때 참은 적이 있는데 그때 햇볕만 쬐어도 행복하고 마트에서 장만 봐도 행복했다”며 “이런 평범한 일상이 감사하다는 것을 몸소 배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모님이 웃는 모습을 몇 년 만에 처음 봤는데 남은 인생이라도 사람답게 살고 싶어 몇 년이 걸리더라도 완치하는 게 현재 목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