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10명 중 6명 이상, 정상 체중이지만 ‘난 뚱뚱하다’ 인식 [헬시타임]

단식등 건강하지 않은 다이어트 시도 남학생이 여학생 두배
우리나라 청소년 설사약·구토 등 극단 다이어트 비율 1∼4%
윤병준 방송통신대 교수, 전국 중·고생 약 3만 명 분석 결과

사진 제공=이미지 투데이


정상 체중이지만 자신이 뚱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남녀 중고생 모두에서 60%를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식 등 건강에 해로운 다이어트를 하거나 설사약·구토 등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하는 비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3배 높았다.


2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윤병준 한국방송통신대 보건환경학과 교수가 2019년 질병관리청의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중·고생 2만 9282명을 대상으로 비만과 다이어트 여부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정상 체중임에도 스스로 뚱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자신의 신체 이미지 왜곡률)은 여학생이 69.1%로, 남학생(66.2%)보다 높았다. 이는 남녀를 불문하고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 신체 이미지 왜곡이 심각한 상태임을 잘 보여준다.


단식이나 원 푸드 다이어트 등 건강하지 않은 체중조절 행위 실천율은 여학생(19.3%)이 남학생(10.4%)의 두 배 정도 됐다. 단식 실천율은 여학생(13.0%)이 남학생(7.5%)의 1.7배였다. 한 가지 음식만을 먹는 원 푸드 다이어트 실천율도 여학생(10.3%)이 남학생(4.6%)의 두 배 이상이었다.


의사 처방 없는 살 빼는 약 복용·설사약이나 이뇨제 복용·식사 후 구토 등 극단적인 체중조절행위 실천율은 여학생(6.8%)이 남학생(2.5%)의 2.7배였다. 남녀 중고생의 의사 처방 없는 살 빼는 약 복용률은 각각 1.5%·4.3%였다. 살을 빼기 위해 설사약이나 이뇨제를 먹는 비율도 여학생(1.7%)이 남학생(1.2%) 많았다. 식사 후 구토해서 살을 빼는 비율도 여학생(2.7%)이 남학생(1.6%)보다 많게 나타났다.


윤 교수는 논문에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실제 체중보다 자신이 뚱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신의 체중과 체형에 훨씬 더 관심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건강하지 않은 체중조절행위와 극단적인 체중조절행위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실천율이 높았다. 우리나라 청소년 중에서도 극단적인 체중조절행위를 경험한 비율이 1~4%였다.


윤 교수는 논문에서 “여학생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족감이 매우 커서 쉽게 우울감과 심리적 열등감을 느끼게 되고, 결국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실행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사춘기에 자신의 신체 이미지에 대한 왜곡이 심하면 거식증·폭식증 같은 식이장애까지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 인식 및 체중조절행위의 영향 요인)는 대한보건협회 학술지 ‘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소개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