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영화처럼 전자피부 개발…뇌-기계 인터페이스도 구현"

[인터뷰]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과 교수
미래에 반창고·문신 형태로 나와
체온·혈압 등 건강상태 송출 가능
논문에 그치지 않고 생활 도움돼야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과 교수


“영화 ‘마이너러티 리포트’를 보고 다양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전자피부 기술을 구현해보기 위한 연구를 박사 학위 주제로 삼았죠. 사람의 피부와 비슷한 형태로 전자기기를 만들어 착용감을 극대화하려고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과 서울경제가 공동 주관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받은 고승환(48·사진) 서울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2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20여 년 새로운 원리를 규명하고 적용하는 세계 최초·최고의 연구에 도전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내에서 석사까지 한 그는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와 LBNL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KAIST 교수를 역임했다.


우선 그는 신약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인 장기모사칩(organ-on-a-chip)을 선택적 레이저열분해공정을 통해 높은 표면가공과 정밀도를 갖는 기술(3차원 미세패터닝)을 처음으로 선보여 주목을 끈다. 그는 “낮은 비용으로 빨리 장기모사칩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고 했다. 이뿐만 아니라 그의 연구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플렉서블·스트레처블 전자기기, 전자피부, 소프트 로봇,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기와 기능성 필터 등으로 넓다.


고 교수는 “언젠가 반창고나 문신 형태의 전자피부를 부착해 체온, 심박수, 근전도, 심전도, 혈압,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해 무선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를 위해 열 제어를 통한 낮은 온도의 공정 개발과 함께 유연하고 신축적인 소자가 다양한 변형에도 잘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는 “수학 계산 능력뿐 아니라 상상력과 독창성이 중요하다”며 “공상과학(SF)영화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은 것처럼 학생들에게 미래에 꼭 필요할 기술과 제품이 무엇인지 상상해보라고 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최적의 시간을 각자 정해 근무하고, 정부나 기업의 연구과제가 아니어도 개인적으로 흥미가 있는 연구를 저녁이나 주말에 맘껏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전했다. 취미처럼 진행한 개인 연구가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도 많지만 혁신적인 결과를 낳는 경우도 종종 봤다는 것이다.


그는 “연구가 논문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생활까지 연결돼 더 의미 있게 쓰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가 2년 전 대학원생들과 함께 차세대 공기청정기와 마스크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스타트업을 시작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연구실에서 창업을 독려하자 연간 1~2명의 졸업생들이 창업에 나서고 있다.


고 교수는 “SF영화에서 옷을 입기만 해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체크되고, 생각만으로 뇌에 삽입된 전자기기가 컴퓨터나 기계장치를 조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연구에 도전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의 경우 지난해 원숭이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해 뇌 활동만으로 화면 속 막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는 모습을 공개했으나 23마리의 원숭이 중 15마리가 폐사해 아직은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