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연구기관 통폐합 융합연구 활성화하고 인재양성에도 힘써야"

[2022 우주포럼]
1만명 이상 조직 만들어야 시너지
실무 연계 커리큘럼 개발도 필요

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2 우주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학회 등 한국우주과학기술단체연합회와 서울경제가 함께한 ‘우주항공 컨트롤타워의 위상과 과제’에 관한 특별 좌담회에서 안형준(왼쪽부터)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팀장, 이재진 한국천문연구원 본부장, 이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 이태식 차기 과총 회장, 김종암 한국항공우주학회 회장, 고광본 서울경제 선임기자, 송경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장, 박명구 한국천문학회 회장,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 김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권욱 기자

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2 우주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경청하고 있다.

우주컨트롤타워를 설립하게 되면 연구기관도 아예 통폐합하거나 융합연구를 활성화하고 교육·훈련과 인재양성에도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이태식 차기 과총 회장(국제우주탐사연구원장·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은 한국항공우주학회 등 한국우주과학기술단체연합회와 서울경제가 8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함께한 ‘우주항공 컨트롤타워의 위상과 과제’에 관한 특별 좌담회에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과 같은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천문연구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일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일부 등을 통째로 합쳐 1만 명 이상의 연구원과 행정원을 둔 거대 연구조직을 만들어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장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통폐합이 쉽지 않다면 융합연구 활성화에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게 그의 뜻이다. 이 교수는 “앞으로 우주 교육·훈련 등 인력양성 문제를 심도 있게 준비해야 한다”며 “우주에 항공을 같이 붙여갈지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종암 한국항공우주학회장(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은 “뛰어난 인재가 나와야 우주항공 분야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며 “인재양성이 너무 소홀히 다뤄졌는데 우리 우주산업의 취약성을 감안해 파격적으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 실무와 연계된 우주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민관 합동으로 5~7년간 연구팀에 연구 프로젝트를 줘야 우수 인력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이어 “우주항공청의 입지와 거버넌스 체계를 놓고 논란이 많았는데 그 기능과 역할을 다룰 때 산학연의 목소리가 균형 있게 들어가야 한다”고 희망했다. 박응식 항우연 실장은 “항우연에서 현재 7개의 위성을 개발하고 있는데 위성 분야 연구원이 200여 명밖에 안 된다”며 우주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