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도 힘든데 고물가·빚에 허덕…청년 경제고통, 전연령대 중 최고

상반기 체감지수 25.1…40대의 2배
물가상승률 5.2%로 3년전의 10배
실업률은 20%…부채증가율도 최고

8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2년 세종특별자치시 청년취업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현황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취업난과 물가 급등으로 청년들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전 연령대 중 가장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4일 발표한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의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25.1을 기록했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을 합한 수치다.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경제고통지수를 활용해 지수를 만들었다.


15~29세 다음으로 지수가 높은 연령대는 60대(16.1)였다. 그 뒤를 30대(14.4), 50대(13.3), 40대(12.5) 순으로 이었다. 29세 이하의 체감경제고통지수는 40대의 2배 이상 수준이었다.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취업난과 올 들어 급격히 상승한 물가가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올 상반기 청년층이 체감한 물가 상승률은 5.2%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10배 정도였다. 청년층이 물가 상승을 다른 연령대보다 크게 체감한 것은 이들의 소비 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의 가격이 특히 올랐기 때문으로 진단됐다.




얼어붙은 취업 시장도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올 상반기 청년 체감 실업률은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19.9%에 이르렀다. 나아가 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 4000명인 데 반해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126만 4000개로 그 절반에 그쳤다. 일자리 증가 속도가 고학력자 배출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형국이다.


전경련은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동반 상승하면 청년들의 재무 건전성이 더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 4년간 29세 이하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2배를 넘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도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가량이나 됐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7년 24.2%에서 2021년 29.2%까지 상승했다. 이 역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치였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지속되는 취업난에 급격한 물가 상승까지 더해져 청년층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규제 혁파, 노동시장 이중 구조 개선 등으로 양질의 민간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