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OTT 키울 ‘콘트롤타워’ 시급…'선육성 후분배' 정책 필요"

방통위 '제 1회 글로벌 OTT 포럼' 개최
OTT 경쟁 양상 복잡해져…전략 변화 필요성 ↑
자본 부족 등 국내외 위기, “콘트롤 타워 시급”
“글로벌 CP 대가 내야”…망사용료법 지지 주장도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방송광과진흥공사는 16일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 다이아몬드홀에서 제 1회 ‘2022 글로벌 OTT 포럼’을 개최했다. 프라산 수카셋(왼쪽부터) 태국 PFEC 의장, 루이스보스웰 아시아비디오산업협회(AVIA) 회장, 파수 쓰리히룬 태국 국가방송통신위원회(NBTC) 사무처장, 홍석준 국회 과방위 의원,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정필모 국회 과방위 의원, 박완주 국회 과방위 의원, 캐서린 박 파라마운트 아시아 사업 대표, 이백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사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허진 기자

글로벌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와의 경쟁에서 토종 OTT가 살아남기 위해서 정부 차원의 콘트롤타워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내 사업자들이 대내외로 겪는 자본 열위, 법적 책임 문제, 망사용료 이슈 등을 총괄할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는 16일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 다이아몬드홀에서 제 1회 ‘2022 글로벌 OTT 포럼’을 개최했다. 이헌율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OTT 역사를 3단계로 구분하며 “넷플릭스가 독점하던 시기를 지나 경쟁 층위가 다양해졌다”며 “기존에는 SVOD(구독형 OTT) 모델이 유일한 비즈니스 모델처럼 생각해왔지만 광고 모델 등이 나오면서 이것이 지속가능한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브릿박스’를 예로 들며 국내 사업자간 전략적 동맹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브릿박스란 영국의 양대 방송사인 BBC와 ITV가 넷플릭스에 대항하기 위해 함께 출범시킨 OTT 서비스다.


업계 관계자들은 토종 OTT가 맞닥뜨린 대내적 어려움에 대해 토로했다. 이희주 웨이브 정책기획실장은 “글로벌 OTT와의 경쟁을 받아내야 하는 와중에 국내에서 요구되는 각종 저작권료, 특허료 등 우리가 생각할 때 막무가내적인 요구도 도전으로 다가오는 상황”이라며 “국내 OTT업계 입장에선 빨리 글로벌로 나가고 싶은데 이를 가속화하는데 있어 발목을 잡는 내부적 환경들이 상당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고창남 티빙 대회협력국장은 “티빙은 지난해에도 700억 원대 적자를 봤지만 올해는 20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적자 폭이 더 커질 예정”이라며 “K-OTT가 살아 남기 위해서는 이러한 투자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방송발전기금, 구상권 청구 등 다양한 이야기가 오고 가는데 ‘선육성 후분배’에 초점을 맞췄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제의식의 연장선에서 업계 관계자 및 학계에서는 산업의 현실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정책을 내놓을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망사용료법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이 교수는 “글로벌 콘텐츠 사업자들에게 망 사용료를 요구하는 게 과도한 규제가 맞는가”라며 “글로벌 사업자들이 우리가 발전해 시켜 온 것에 기반해 막대한 이익을 누리고 있다면 그것에 대해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