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수사 클라이막스…'이재명' 직접 겨냥한 검찰[서초동 야단법석]

수사 1년 2개월만에 李 최종점 지목
대장동 일당 진술 번복에 수사 급물살
수사팀 교체 뒤 최측근 연이어 구속
검찰 성과에 쏙 들어간 '특검론'
李 피의자 신분 소환 여부 촉각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대장동 개발 사업 로비·특혜 의혹이 불거진 지 약 1년 2개월 만에 검찰이 사실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수사의 최종점으로 지목하고 사정의 칼날을 들이대고 있다. 수사팀 교체 후 이른바 ‘대장동 일당’의 진술 번복을 시작으로 이 대표의 최측근들이 연이어 구속되면서 수사는 연일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다. 이제 수사를 둘러싼 관심은 연내 이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하느냐에 맞춰졌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장동 수사는 지난 7월 수사팀이 교체된 뒤 4개월 만에 이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신병을 확보하는 성과를 냈다.


문재인 정부 시절 검찰은 지난해 9월 경제범죄형사부 소속 검사 전원과 중앙지검 및 타 청으로부터 파견 온 검사 등 30여명으로 꾸려진 매머드급 전담수사팀을 출범시켜 대장동 의혹 규정에 나섰지만, 별다른 성관 없이 ‘봐주기 수사’라는 구설수만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필두로 ‘대장동 4인방’을 재판에 넘겼지만, 소문만 무성했던 ‘윗선’ 수사는 전혀 진척을 보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검찰 수사를 향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면서 ‘특검’이 수사를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정치권 안팎으로 제기됐었다.


하지만 올해 7월 인사로 수사팀이 전면 개편된 뒤 상황이 180도 바뀌었다. 유 전 본부장과 남욱 변호사 등의 달라진 ‘입’이 계기로 작용했다. 이들의 진술로 이 대표의 측근 중 한명인 김 부원장이 지난 10월 19일 체포된 것을 시작으로 민주당 당사 압수수색과 김 부원장 구속, 정 실장 구속까지 수사는 숨 가쁘게 돌아갔다. 떠들썩했던 ‘특검론’도 쏙 들어갔다.




수사에 자신감을 얻은 검찰은 김 부원장의 공소장과 정 실장의 압수수색 영장이 이 대표를 159회 언급하는 등 이 대표의 개입 가능성을 에둘러 강조했다. 특히, 대장동 일당에게 돈을 건네받은 혐의로 구속된 정 실장을 이 대표의 ‘정치적 공동체’로 적시해 ‘검은 돈’의 종착지가 이 대표에게 흘러갔을 수 있음을 암시했다.


대장동 일당의 연이은 폭로도 이 대표를 향한 것이다. 남 변호사는 이달 21일 재판에서 "2015년 2월부터 천화동인 1호 지분이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 측 지분이라는 것을 김만배 씨에게서 들어서 알았다"고 진술하는 한편, 유 전 본부장은 자신이 정 실장과 김 부원장에게 선거자금 명목으로 돈을 전달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가 의혹의 전면에 등장한 만큼 이 대표에 대한 수사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던 검찰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지난 22일 “이 대표에 대한 수사는 당연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실장과 관련한 수사가 필요하다는 취지지만, 이 대표에 대한 첫 수사 필요성을 언급한 뒤 최근 이 대표와 가족의 계좌 추적을 위한 영장을 발부받아 본격적으로 직접 수사에 나서고 있다. 유 전 본부장과 남 변호사가 주장한 대로 ‘검은 돈’의 흐름이 이 대표에게 흘러들어갔는지가 검찰 수사의 초점으로 맞춰진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검찰은 구속 상태인 정 실장을 상대로 조사를 진행하며 이 대표의 개입 여부를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있다. 법조계 안팎에선 검찰이 결국 이 대표에게 정치자금법 위반이나 뇌물 혐의의 피의자로 소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대표가 대장동 사업의 최종 의사결정권자인 점에서 배임 혐의 적용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있다. 수사 속도를 감안하면 이 대표의 연내 소환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대표는 전날 노무현재단 유튜브 채널 '알릴레오 북스'에 출연해 "표적을 정해놓고 그에 맞춰 수사하는, 기소를 위해 수사를 하는 일이 있다"며 본인을 겨냥한 본인 수사를 비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