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무슨 절이었을까? 삼척 흥전리 사지 사적 지정

신라 '승관제도' 입증 유적
발굴조사로 유물 무더기 출토

사적으로 지정된 삼청 흥전리 사지에서 출토된 '범웅관아(梵雄官衙)’ 명 청동관인. '범웅'은 '석가모니', '관아'는 승관(僧官)을 뜻해 부처를 모시는 주요 사찰의 도장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사진제공=문화재청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대덕산 일대에는 석탑과 석등의 잔해가 남은 절터 유적지가 있다. ‘삼척 흥전리 사지(三陟 興田里 寺址)’다.


문화재청이 삼척 흥천리 사지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한다고 28일 발표했다. 폐사지 기초조사사업을 실시한 문화재청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불교문화재연구소와 폐사지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삼척 흥전리 사지에서는 완벽한 형태의 청동정병(물병) 2점, 인주까지 함께 남아 있는 인주함, 금동번(사찰 장식품) 투조장식판, 금동사자상 등 지금까지 사찰 유적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유물들이 양호한 상태로 출토됐다. 결정적으로 신라 시대 국왕의 고문 역할을 한 승려를 지칭하는 ‘국통(國統)’, ‘대장경(大藏經)’ 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비석조각과 ‘범웅관아(梵雄官衙)’라고 새겨진 청동관인 등이 출토됐다. 이는 삼척 흥전리 사지가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에 걸쳐 강원도 동부 지역의 유력한 선종사원이었음을 입증한다.



삼척 흥전리 사지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삼척 흥전리 사지 발굴현장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다만 철저한 발굴조사에도 불구하고 사명(寺名)의 단서가 될 수 있는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사찰 이름이 아닌 지명을 따 ‘삼척 흥전리 사지’라는 지정 명칭을 붙인 이유다. 대동여지도 등의 기록과 유물들을 통해 신라의 ‘돈각사’라는 절이 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나 입증은 되지 않았다.


문화재청 측은 “‘삼척 흥전리 사지’는 그간 문헌으로만 확인되던 신라 불교의 승직제도(僧職制度)인 ‘신라 승관제도’를 유구와 유물을 통해 실증하는 유적”이라며 “지방 세력을 견제해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통일신라의 통치 방식을 엿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건물지에서는 다원식 공간 배치와 다양한 형태 및 시설을 확인할 수 있어 고대 산지가람에 대한 새로운 사례를 제시해 미술사?건축사·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