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왜 갔냐, 세금 아까워"…의사 폭언에 생존자 또 '눈물'

10·29 참사 이후 한 달여가 지난 28일 한 시민이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사고 현장에서 시민들의 추모 글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부상자들과 유족들은 2차 가해와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KBS에 따르면 참사 당일 밤 이태원을 방문한 A씨는 인파를 피해 겨우 현장을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팔에 피멍이 들고 메스꺼움 증상이 있어 이틀 뒤 인천의 한 병원을 찾았다.


하지만 A씨를 진찰하던 의사는 다친 부위와 부상 경위를 듣고서는 다짜고짜 “이태원을 왜 갔냐”며 “그 사람들을 왜 애도해야 하는지 모르겠고, 지원금에 내 세금이 들어가는 게 너무 화가 난다”고 말했다.


A씨는 웃어넘기려 했지만 의사는 계속해서 “희생자들을 왜 애도해야 하는지 모르겠고 애도할 마음도 없다”며 “내가 20~30대 때는 공부만 했는데, 요즘엔 다들 놀러 다니기만 바빠서 사고가 난 것”이라고 비난을 이어갔다.


의사의 말에 A씨는 진료를 거부하고 병원을 나섰다. 그는 “그 말을 듣고 나서부터 ‘이태원 참사 부상자라서 내가 이렇게 아프다’라고 얘기하기가 눈치 보인다”며 “이태원 갔다는 얘기를 못 하겠다. 병원에서 ‘얘도 우리 세금 떼먹는 사람이네’ 생각할까 봐 서류를 함부로 못 내밀겠다”고 털어놓았다.


이 같은 2차 가해는 트라우마를 심화시킬 수 있다. 강지인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KBS에 “트라우마가 1차적으로 끝난 게 아니고 그 후에도 계속 트라우마를 자극하면서 재경험 같은 과각성 증상들이 더욱더 자극되거나 악화될 수 있는 계기들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국가트라우마센터에 따르면 트라우마로 인한 불편감이 한 달 이상 지속되고, 주관적인 고통이 심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발전할 수 있다.


강 교수는 “작은 말 한마디에 따뜻한 위로는 큰 힘이 되는 반면 비난이나 섣부른 충고, 지적은 큰 상처를 남길 수 있는 만큼 서로를 이해, 공감하고 보듬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대한신경정신의학회도 성명을 통해 “재난 상황에서 온라인상의 혐오 표현은 큰 고통 속에 있는 유가족과 현장에 있던 분들의 트라우마를 더욱 가중시키고 회복을 방해한다”며 “혐오와 낙인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해 재난 상황을 해결하는 데 어떠한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경찰도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모욕하는 2차 가해 게시물에 대해 정식 수사에 나선 상태다.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불법정보의 유통금지 등) 위반 혐의로 20대 피의자 3명을 검찰에 송치했고, 인천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도 같은 혐의로 30대 1명을 검찰에 송치했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친구들이 작성한 편지./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이태원 참사 당시 소방당국에 구조요청을 했던 119 신고자 두 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신고 시간이 각각 참사 당일인 29일 오후 10시 42분, 11시 1분경이었던 만큼 소방당국이 ‘골든타임’을 허비했다는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관측된다.


특수본은 30일 언론 백브리핑에서 "(참사 당일 첫 신고가 접수된) 오후 10시 15분 이후에 계속적으로 사망자를 줄이거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본다"며 "오후 10시 15분 이후에 구조 활동이 계속 진행됐어야 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소방당국의 구조활동이 적절했는지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