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중반 이후 인류가 지구 환경에 대격변을 불러온 지질시대를 뜻하는 ‘인류세(Anthropocene)’ 공식화 여부가 조만간 결정될 전망이다.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30여명의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인류세워킹그룹(AWG)은 이날 인류세의 시작점 등 세부 내용을 정하기 위한 내부 투표 단계에 돌입했다.
인류세의 특성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지질 표본을 폴란드의 이탄지, 남극반도의 빙하, 일본 해안의 만(灣) 등 후보지 9곳 가운데 어디로 할지도 투표에 포함됐다.
앞서 AWG는 이달 인류세의 단위를 홀로세와 같은 ‘세(epoch)’로 규정할지, 홀로세에 속한 ‘절(age)’로 규정할지에 대해서도 투표를 거쳤다.
지구의 46억년 역사는 가장 큰 시간 범위인 누대(eon)를 시작으로 대(era)-기(period)-세(epoch)-절(age) 단위로 구분된다. 현재는 ‘현생누대 신생대 4기 홀로세 메갈라야절’이다.
AWG의 투표 결과와 향후 진행될 투표 내용 등은 권고안이 최종 완성될 때까지 공개되지 않으며, 모든 내부 투표가 마무리되는 내년 봄께 AWG는 지질학 위원회 3곳에 권고안을 제출해 인류세를 공식적으로 인정할지 판단받게 된다. 각 위원회 60% 이상의 승인을 얻으면 인류세는 지질시대 중 하나로 인정되지만, 반대로 충분한 표를 얻지 못하면 향후 수년간은 등재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 2019년 AWG는 34명 중 29명의 찬성으로 인류세 시작점을 20세기 중반으로 잡는 데는 합의했다. 인류의 환경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핵폭발과 비료, 발전소에서 발생한 물질들이 지구에 흔적을 남기기 시작한 시점이다.
워킹그룹의 위원장 콜린 워터스는 “1920년대였다면 ‘자연은 인류가 영향을 미치기엔 너무 거대하다’고 생각했겠지만, 지난 세기 그런 관점은 완전히 뒤집혔다”며 “소행성 충돌과 맞먹는 충격적인 일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다만 지질학계는 특징상 보수적일 수밖에 없어 인류세의 공식적인 인정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특히 시대를 나누는 선을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 케임브리지대 지질학자인 필립 기버드는 지구의 지질기록에 수많은 공백이 있다고 강조하며 "많은 조각을 잃어버린 직소 퍼즐과 같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부분의 변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난다는 점 또한 문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