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증가율 0%대"…'경제 버팀목' 수출까지 초비상

[주력산업 치킨게임 수렁]
■ 전경련 2023 수출전망 조사
올해 대비 평균 0.5% 증가 전망
기업 10곳 중 4곳은 "수출 감소"

2023년 업종별 수출 증감률 전망. 자료 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내년 글로벌 경기 침체로 0%대 증가율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 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업종에 속한 업체 15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수출 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들은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평균 0.5%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종별로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살펴보면 전기·전자 -1.9%, 석유화학 제품 -0.5%, 철강 0.2%, 자동차 0.9%, 일반기계·선박 1.7%, 바이오·헬스 3.5%로 조사됐다.


또 응답 기업의 39.3%는 내년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들은 ‘높은 수준의 원자재 가격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45.7%)’ ‘주요 수출국의 경기 부진(33.9%)’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또 수출 감소 시 ‘공장 운영비, 판관비 등 비용 절감(35.6%)’ ‘채용 축소 등 고용 조정(20.3%)’ ‘투자 연기 및 축소(15.3%)’ 등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응답 기업의 53.3%는 내년 수출 채산성이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수출 채산성이 악화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28.0%)은 개선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18.7%)보다 많았다.


채산성 악화 전망이 많은 업종은 전기·전자(40.7%), 철강(31.3%), 석유화학 제품(28.6%), 자동차(26.5%)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 채산성 악화 요인으로는 ‘원유·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54.7%)’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14.3%)’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 비용 상승(11.9%)’이 꼽혔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는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38.0%)’ ‘수출 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24.7%)’ ‘공급망 애로 해소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21.3%)’ 순으로 답이 나왔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코로나 사태 이후 경제 성장을 주도해온 수출 증가세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정부는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 확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