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2000억弗 기금 설립 '지구 30%' 보호한다

■COP15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채택
2030년까지 해안·해양·육지
30% 보호 등 23개 목표 담아
생물다양성기금 신설도 합의
'역사적 합의 이뤘다' 환영 속
구속력 없어 이행 여부 미지수
"선진국 출자액 적다" 반발도

19일(현지 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196개국 대표들이 23개 목표를 담은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채택한 뒤 박수 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100만 종의 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한 가운데 196개국이 23개 목표를 담은 생물다양성보존협약을 타결했다. 각국이 거액의 기금을 조성해 2030년까지 전 세계 바다와 육지 30%를 보호하고 민간기업에도 생물다양성 관련 보고를 의무화한다는 것이 골자다. '파리기후협약'에 비견되는 역사적 합의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구속력이 없어 각국이 합의 내용을 실제로 이행할지는 미지수라는 우려도 여전하다.


19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는 약 2주간의 회의 끝에 이날 23개 목표를 담은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채택하고 폐막했다. 생물다양성을 위한 글로벌 프레임워크가 채택된 것은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10차 총회 이후 12년 만이다. 이번 회의는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이 부상하는 가운데 사실상 전 세계가 합의안을 도출하는 자리라는 점에서 주목됐다. 앞서 세계은행은 생태계 붕괴로 2030년에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2.3%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번 프레임워크에서 196개 참가국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육지와 해안·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정해 관리하기로 했다. 이른바 ‘30×30’ 목표다. 현재 보호지역으로 관리되는 구역은 육지의 17%, 해양의 10% 정도인데 이 면적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최대 쟁점으로 꼽혔던 자금 조달 방안과 관련해서는 지구환경기금(GEF) 산하에 연간 2000억 달러 규모의 생물다양성기금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선진국 정부와 민간기관들은 이 기금에 2025년까지 매년 최소 200억 달러, 2030년까지 매년 최소 300억 달러를 출자해야 한다.


또 각국 정부는 다국적 대기업과 금융기관에 이들의 사업 및 경영이 생물다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의무적으로 평가·분석하고 공개할 것을 권고해야 한다. 목표 달성 상황에 대한 지표를 담은 보고서를 5년마다 제출하는 내용도 합의에 담겼다.


주요국과 환경단체들은 대체적으로 합의안을 반기는 분위기다. 자금 조달 계획과 각국의 목표 이행 보고 사항 등이 구체적으로 마련됐다는 점에서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전 합의안에서 결여됐던 내용을 보충한 이번 합의는 생물다양성 문제에 대한 대응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자연보호단체 연합인 ‘캠페인포네이처’의 브라이언 오도널 국장은 “자연을 위한 엄청난 순간”이라며 “지금까지 시도해본 적이 없는 수준의 자연보호”라고 말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씨티은행·BNP파리바그룹·유니레버·록시탕 등의 대표와 관계자 수백 명이 COP15에 참가하는 등 민간의 관심도 높다. 최근 자연보호와 관련해 연간 7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금이 부족한 것으로 집계되며 생물다양성에 기업들도 비로소 집중하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건은 합의가 실제로 얼마나 많은 성과를 내느냐다. 앞서 2010년 타결된 ‘아이치합의’는 20개 목표 중 6개만 부분적으로 달성되는 데 그쳤다. 이번 합의 역시 법적 구속력이 없어 각국에서 이를 이행할지는 미지수다. 선진국의 반대로 자금 출자 규모가 계획보다 작게 책정된 것과 관련해 세계 2위 규모의 열대우림을 보유한 콩고민주공화국은 회의 마지막 날까지 합의안에 반대하기도 했다. 리숴 그린피스차이나 국제정책고문은 “합의안 타결은 끝이 아니다”라며 “2024년 다음 총회가 열리기 전까지 각국 정부는 목표를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