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제균 감독의 손끝에서 한국 최초 오리지널 뮤지컬 영화가 탄생했다. 수많은 의심의 눈초리를 받았지만, 그는 자신이 세운 목표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뮤지컬 팬들을 만족시키면서 전 세계에 내놔도 손색없을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그의 꿈은 실현됐다.
'영웅'(감독 윤제균)은 1909년 10월,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김승락)를 사살한 뒤 일본 법정의 사형 판결을 받고 순국한 안중근(정성화) 의사가 거사를 준비하던 때부터 죽음을 맞이하던 순간까지, 잊을 수 없는 마지막 1년을 그린다.
윤 감독은 뮤지컬 '영웅'에서 느꼈던 감동을 스크린에 옮기기로 결심했다. 예전부터 뮤지컬 영화에 관심이 많았던 게 아니라, '영웅'을 본 후 뮤지컬 영화를 만들고자 마음먹은 것이다. 그 감동의 시작은 안중근과 그의 어머니 조마리아 여사의 서사였다.
"'영웅'을 영화화하기로 결심한 이후로 고난의 연속이었어요. '왜 하필?'이라는 반응이 많았죠. 또 배우 정성화와 함께하고 싶어서 설득하는 과정도 필요했습니다. 모두 의심의 시선으로 봤지만, 전 영화화하겠다고 했을 때 목표가 명확하게 있었어요. 뮤지컬을 본 사람들을 실망시키지 않는 것과 전 세계 시장에 내놔도 부끄럽지 않은 우리나라 최초 오리지널 뮤지컬 영화를 만들겠다는 거였죠."
윤 감독은 영화 '해운대'와 '국제시장'으로 일명 '쌍천만 감독'으로 불린다. 흥행에 대한 부담이 있을 수 있지만, 그는 흥행을 첫 번째 목표로 두지 않았다. 영화 주연을 맡지 않았던 정성화를 안중근 역으로 캐스팅한 것도 흥행보다 작품을 먼저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다시 천만 영화를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하지 않았어요. 만약 흥행을 생각했으면, 주연 배우의 실력보다 이름값, 스타성을 고려했을 수 있죠. 하지만 이런 건 애초에 염두 대상이 되지 않았어요. 제 목표를 실현하려면 실력이 중요했어요. 정성화보다 '영웅' 속 안중근을 더 잘 소화할 수 있는 배우는 없다고 판단했어요."
"다른 배우 캐스팅도 마찬가지예요. 김고은이 노래를 잘 할 수 있을까, 나문희 선생님이 원래 노래를 잘하시는 분이 아닌에 뮤지컬 연기를 할 수 있을까 등 의심의 시선이 있었어요. 감사하게도 배우들이 의심을 확신으로 증명시켜줬죠. 진심으로 감사해요."(웃음)
캐스팅을 마친 윤 감독은 본격적으로 뮤지컬 '영웅'을 각색하기 시작했다. 그는 뮤지컬 제작진과 상의하면서 대본을 만들었다고 회상했다. 각색은 무려 6개월이 걸렸다고. 이 과정에서 뮤지컬에서 논란이 됐던 부분들이 대폭 수정됐다. 이토 히로부미 곁에 있던 설희(김고은)의 서사가 추가됐고, 중국인 캐릭터가 한국인으로 바뀌었다.
"공연은 아무래도 안중근을 중심으로 흘러가서 서브 캐릭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힘들었을 거예요. 하지만 영화에서는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관객들을 설득할 수 없죠. 대표적인 게 설희예요. 설희는 이토 히로부미 옆에서 24시간 동안 붙어 있잖아요. '가장 쉽게 죽일 수 있는데 왜 안 죽였을까?'라고 생각하기 쉽죠. 그런 설희에게 미션을 줬어요.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 도착하기 전에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반드시 알아내는 거였어요. 그렇게 설희는 하얼빈에 도착하기 전까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일 수 없게 된 거예요."
"중국인인 왕웨이와 링링은 한국인으로 바꿨는데, 중국어로 노래를 부르게 되면 3개 국어가 돼서 번잡스러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또 공연에서는 링링이 유부남인 안중근을 짝사랑하는 걸로 나오는데, 영화 속 마진주(박진주)는 젊은 유동하(이현우)와 커플로 설정했어요. 10대 후반에 설레는 사랑을 할 때, 시대를 잘못 만났다는 이유로 한 사람은 죽고 한 사람은 형무소로 가게 돼요. 시대가 힘들고 나라가 힘이 없으면 사랑조차 이뤄질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연출적으로는, 독특한 화면 전환 방식이 눈에 띈다. 물에 얼굴이 비치면서 화면이 넘어가거나 스카프가 휘날리면서 다음 시퀀스가 시작되는 방식이다. 이는 공연과 영화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었다.
"공연은 다음 시퀀스로 넘어갈 때 자연스러워요. 암전되고, 박수 소리가 나오면서 충분한 시간을 두죠. 하지만 영화에서 암전을 시키고 다음 신으로 넘어갈 수 없잖아요. 그래서 독특한 방식을 생각했어요. 공을 정말 많이 들였는데, 관련된 영화, 드라마, CF를 정말 많이 찾아보고 비주얼 팀과 회의를 거쳐 우리 작품에 맞는 걸 찾았어요."
라이브 동시 녹음은 잔뼈가 굵은 윤 감독에게도 도전이었다. 세트를 지을 수 없는 상황에서 최대한 라이브를 살리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작은 소리가 들어가면, 처음부터 다시 노래를 불러야 됐기에 현장은 정적 그 자체였다고. 소리를 컨트롤하는 건 또 다른 문제로 다가왔다.
이렇게 촬영을 마친 '영웅'은 당초 2020년 8월 개봉 예정이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하게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개봉이 연기된 것이다. 윤 감독은 빨리 작품을 선보이고, 다른 작품을 시작하고 싶었지만 기다림의 연속은 힘들었다고 털어놨다. 다행인 건 그만큼 후반 작업의 시간이 늘어났다는 거다.
"부족한 부분을 다시 채울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진 건 다행이었죠. 원래대로 개봉했다면, 지금보다 완성도는 떨어졌을 거예요. 보통 후반 작업에서 사운드, 대사, 음악, 이펙트 밸런스를 한두 번에 거쳐 맞춘다면, 이번에는 10번 정도 넘게 한 것 같아요."
"재촬영도 많았어요. 각 배우 별로 절정이 되는 신을 다시 찍었죠. '장부가'를 부르는 부분은 재재촬영까지 했습니다. 나문희 선생님이 '사랑하는 내 아들, 도마'를 부르는 건 원래 감옥 담벼락이었는데, 배냇저고리를 보면서 부르는 걸로 바꿨어요. 김고은의 열차 신은 원래 화물칸이었는데 처연함을 강조하기 위해 난간에서 부르는 걸로 다시 찍었습니다."
'영웅'은 우리나라 최초 오리지널 뮤지컬 영화로 관객과 만나고 있다. 윤 감독은 "최초에 대한 사명감이 생겼다"고 밝히며 "앞으로 국내에서 더 많은 뮤지컬 영화가 제작되길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뮤지컬 영화에 도전하는 감독이나 제작자가 있다면 편하게 연락주길 바란다. 나의 모든 노하우를 전달하겠다"고 했다.
"힘들 때면 전 스스로에게 질문해요.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내가 쌍천만 감독이 되는 게 어려울까, 아니면 쌍천만 감독이 뮤지컬 영화를 하는 게 어려울까'예요. 회사원이었던 제가 영화감독을 하면서 무시당하고, 코미디 감독이라고 천시당하면서도 이 자리까지 왔어요. 그것 자제가 이미 저한테는 큰 도전이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도전에 대한 두려움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