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증시 안정 대책 종료…신용융자 금리도 10%대 껑충

내년 증권사의 신용거래융자 담보 비율과 반대매매 기한이 원상 복구된다. 증시 변동성 완화 조치가 올해로 종료되면서다. 증시가 악화된 상황에서 또 다른 변수가 될지 주목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 당국은 증시 안정화 대책을 올해 말로 종료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7월 한국은행의 사상 첫 빅스텝(0.5%포인트 금리 인상) 이후 주가지수가 2200선 아래로 주저앉자 증시 안정화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신용융자 담보 비율을 140%에서 130%로 낮추는 한편 반대매매 기간도 1거래일 유예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담보 비율이 상향, 더 많은 담보를 넣어야 하고 반대매매 기간도 유예되지 않는다. 반대매매는 증권사에서 돈을 빌린 투자자의 주식가치 평가액이 담보 유지 비율 아래로 내려갈 때 이뤄진다. 당국은 미수거래 반대매매 비중이 이달 6~9%인 만큼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증권사들의 신용융자 대출금리도 내년 최고 10%로 껑충 뛰어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NH투자증권은 내년 1월 4일부터 각 구간별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0.4~0.5%포인트 올린다. 61일 이상 이자율은 9.5%에서 9.9%가 된다. 신한투자증권 역시 내년 1월 9일 이후부터 90일이 넘어가면 이자율 10%를 적용한다. KB증권 역시 새해부터 8~15일 기준 8.6%에서 8.9%로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인상한다. 이 밖에 케이프투자증권·하이투자증권 등도 신용거래융자 금리를 인상한다. 삼성증권은 90일 이상 금리가 10%를 넘어선 바 있다.


그나마 증시 불황 여파로 개인 투자자의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크게 감소한 점은 다행이다. 금투협에 따르면 이달 28일 기준 16조 7071억 원으로 지난달 말(17조 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