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일 영상 등으로 공개한 자칭 ‘600㎜ 초대형 방사포(미국식 코드명 KN-25)’의 실전 배치(노동당 인도식)를 둘러싸고 여러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600㎜ KN-25가 맞는지, 북한의 주장대로 전술핵 탑재가 가능한지와 함께 왜 도색을 북한의 지형과 관련이 없는 사막색 계열로 위장했는지 등이다.
주요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기존에 공개한 핵탄두로는 KN-25에 핵미사일을 탑재하기 힘들다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 및 이를 탑재한 KN-25를 중앙아시아·중동 지역 등의 반체제 세력이나 불량 국가에 수출할 우려도 제기됐다.
2일 서울경제의 취재를 종합하면 북한이 전날 공개한 초대형 방사포에 전술핵이 탑재되기는 아직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KIDA) 북한전력연구실장(현역 대령)은 “북한의 주장대로 구경 600㎜의 초대형 방사포에 핵탄두를 탑재하려면 핵탄두의 직경이 400㎜ 이하는 돼야 한다”면서 “북한이 2016년에 공개한 핵탄두 모형의 직경은 약 600~800㎜, 2017년도에 공개한 땅콩 형태의 핵탄두 직경은 약 700㎜급으로 추정돼 KN-25의 600㎜ 구경 발사관에 넣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청한 한 당국자도 “북한이 공개한 핵탄두 중 KN-25에 탑재할 수 있는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2017년 핵탄두를 공개한 지 5년 이상 지난 만큼 그사이에 600㎜급 발사관에 넣을 수 있도록 핵기폭 장치 등을 더 소형화했을 가능성은 염두에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위장도색을 왜 황색 계열로 했는지도 관심이다. 이 실장은 “북한의 지형 특성상 사막색 위장은 맞지 않다”면서 “해외 수출을 겨냥한 차원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사막 지형 등이 분포한 중앙아시아·중동 지역의 바이어를 염두에 둔 위장색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차륜형이 아닌 궤도형 이동식 발사대를 사용한 점도 사막 지역 바이어를 염두에 둔 조치로 해석됐다. 실제 북한이 2019년 8월 공개한 600㎜급 KN-25는 4개 발사관 및 8개 바퀴(4축)의 차륜형 이동식 발사대로 구성돼 있다. 반면 이번에 공개한 사진에서는 궤도형 이동식 발사대에 6개 발사관이 달려 있다. 군 출신의 한 소식통은 “북한이 무기 체계 경로상에서 최적화하는 작업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