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없는 왕래재개에…홍콩서 하루만에 34만 중국行 예약

中, 8일 입국자 격리 폐지…접경지대 열려
홍콩, 5일부터 입경 예약…춘제 예약 마감
'최대 4주' 격리에 3년간 인적왕래 막혀와

1월 5일 밤 중국 베이징의 다싱공항 여객 터미널에서 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포기함에 따라 항공 교통의 점진적 활성화가 예상된다. 연합뉴스

중국과 홍콩 간 격리 없는 왕래 재개를 앞두고 홍콩에서 하루 만에 34만여명이 중국 입경을 예약했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전일 밤 홍콩 정부는 5일부터 이틀 간 34만여명의 주민이 중국 입경을 예약했다고 밝혔다.


5일 홍콩 정부는 8일부터 7개 검문소를 통해 중국과 양방향 하루 각 6만 명씩 왕래가 허용된다며 온라인 입경 예약 시스템을 열었다.


예약 시스템이 열리자마자 이달 21일 시작되는 춘제(春節·중국의 설) 직전인 19∼20일에 대한 예약은 마감됐다.


홍콩에는 총 14개의 입경 검문소가 있으나 2020년 1월 코로나19 대유행과 함께 3년간 홍콩 국제공항, 선전만, 홍콩-주하이-마카오 대교 등 3개 검문소만 운영됐다. 이들 검문소를 통한 왕래도 엄격히 제한됐고, 특히 길게는 2~4주씩 걸리는 격리 등으로 중국과 홍콩 간 인적 왕래는 사실상 막혀 있었다.


하지만 8일을 기점으로 중국과 홍콩 간의 인적 교류는 활성화될 전망이다. 중국이 8일부터 입국자에 대한 격리를 폐지하고 홍콩과의 왕래에 대한 제한도 완화하면서 3년간 닫혔던 중국-홍콩 간 접경지대도 열리게 됐다. 중국과 홍콩은 양방향 입경객들에 대해 출발 48시간 전 PCR(유전자증폭) 음성 증명서만을 요구하기로 했다.


특히 홍콩과 맞닿은 광둥성 선전 지역 주민과 홍콩 주민들이 춘제를 앞두고 가장 먼저 혜택을 볼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매일 선전과 홍콩을 오가며 통학이나 출근을 하던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접경 지역이 닫히면서 이들의 발이 묶였고, 광둥에서 홍콩으로 공급하던 채소와 육류 등 물류도 큰 차질을 빚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중국과 홍콩은 하루 60만여명씩의 인적 왕래를 허용했다. 2019년 중국에서 홍콩을 찾은 이는 약 4400만 명이다.


중국 푸젠성 출신으로 홍콩의 식당에서 웨이터로 일하는 린저쿤(23) 씨는 SCMP에 “2019년 이후 고향에 못 갔다. 그 사이 태어난 조카가 네살이 됐다”며 “8일 아침 중국으로 들어갈 것이다. 이번 춘제에는 조카를 드디어 만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중국으로 들어가는 사람들은 대부분 코로나19 관련 약을 대거 챙기고 있다. 중국에서 관련 약 품귀 현상이 벌어지자 현지 가족과 지인들을 위해 준비해 가고 있다고 SCMP는 보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