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눈치작전'…SKY 정시, 55%가 마감 직전 접수

통합수능·교차지원 불안 영향
자연계보다 인문계열 더 심해

학부모들이 지난달 11일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종로학원 주최로 열린 '2023 정시 합격전략 설명회'에서 입시 전문가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서울 주요 대학 정시모집에서도 마감 직전 절반이 넘는 수험생이 몰리는 등 '눈치작전'이 치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정시 모집에서 인문·자연계열을 합친 전체 지원자(1만413명)의 54.7%인 7667명이 접수 마감 직전 3시간 동안 원서를 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은 정시 원서 마감 3시간 전에 마지막으로 경쟁률을 공개하는데 절반이 넘는 수험생이 이를 확인하고 막판에 원서를 접수했다.


특히 인문계열에서 막판 눈치작전이 더 치열했다. 인문계열 학과는 전체 지원자(6603명)의 56.6%(3740명), 자연계열 학과는 전체 지원자(7410명) 중 53.0%(3927명)가 지원했다. 2년차를 맞은 통합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향이 미쳤다는 분석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인문계열에서 상대적으로 눈치작전이 치열했던 이유는 올해 통합수능에서 문이과 간 수학점수에서 밀린다는 불안감, 교차지원으로 인한 불안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자연계열도 교차지원 유불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신중하게 접근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학별로 보면 서울대는 3시간 동안 인문 52.5%, 자연 51.3%, 연세대는 인문 63.5%, 자연 61.4%, 고려대는 인문 51.5%, 자연 47.7%가 지원했다. 학과별로는 인문계의 경우 연세대 아동가족학과(93.8%), 자연계는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88.3%)가 마감 직전 가장 많은 수험생들이 몰렸다.


정시 합격자 발표일은 중앙대 13일, 고려대 27일, 서울대는 2월 3일, 연세대 2월 6일이다. 성균관대는 예정보다 한 달 앞당긴 지난 6일 정시 합격자를 발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