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韓 고령층 40%…은퇴 연령 넘겨도 노동 지속"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의 노인들이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은퇴 연령을 넘어서도 노동을 계속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7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은퇴 연령을 넘기고도 고된 노동을 계속하는 노인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는 “인구통계학자들은 이미 수년간 선진국들의 ‘인구 구조적 시한폭탄’을 경고해 왔지만,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미 정부와 기업, 누구보다도 고령층 자신이 고령화 사회의 현실을 뼈저리게 체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NYT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노인 빈곤율이나 일하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각각 40%가량 된다. 홍콩에서는 노인 8명 중 1명꼴로 일을 하지만, 일본에서는 노인 4명 중 1명꼴로 일한다. 이는 미국에서 18%인 것과 비교해 높은 것이다.


이처럼 고령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노동시장의 풍경이나 정책도 달라지고 있다. 일본과 한국에는 고령 노동자를 위한 임시 직업소개소나 노조가 있다.


일본의 경우 기업 절반이 정규직 인력 부족에 직면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60세 이상을 대상으로만 구인에 나서는 업체가 있는가 하면 일본 정부는 고령 직원들을 위한 시설을 강화하는 중소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한다.


다만 안정적인 정규 사무직은 대체로 젊은이들에게 주어지고, 노인들에게는 저임금에 체력적 소모가 큰 계약직 자리가 주로 주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NYT는 “저임금 계약직의 경우 기업의 퇴직연금이 아니라 국가에서 주는 기초 연금밖에 받지 못하게 되는데 한국과 중국, 일본의 평균 연금은 월 500달러(약 63만 원)에 미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국가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노인들은 스스로 일을 찾아 나서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 NYT는 한국에서 오전 11시 30분부터 점심 식권을 나눠주는 한 시설에 노인들이 아침 9시부터 줄을 서고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현재 각국은 기업 보조금이나 은퇴 연령 조정 등 정책 변화를 시도하며 근로 인구의 고령화에 대응하고 노인 빈곤율을 낮출 방법을 고심하고 있으며, 또한 고령화 추세를 뒤따르고 있는 다른 지역 국가들이 동아시아 국가들의 선례를 지켜보며 위기에 대응할 방법을 배워야 할 상황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