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학문의 대를 잇는 ‘초세대 협업연구실’ 추가 오픈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장석복 화학과 교수 연구실 새롭게 선정
김교수 연구팀, 반도체 초격차 경쟁력에 필수적인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
장교수 연구팀, 새로운 촉매화학반응 개발 및 혁신적인 전합성 방법 개척 ?

대전시 유성구에 자리잡고 있는 KAIST. 사진제공=KAIST

KAIST가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추가 개소하고 11일 현판식을 개최했다.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은퇴를 앞둔 교수가 오랜 시간 축적해온 학문의 성과와 노하우를 이어가기 위해 후배 교수와 협업하는 KAIST의 독자적인 연구제도다.


KAIST는 2018년 초세대 협업연구실 제도를 처음 도입한 이후 7개의 연구실을 선정했고 지난해말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정호 교수의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과 화학과 장석복 교수의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을 추가로 선정했다.



KAIST 초세대 협업 연구실로 새롭게 선정된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연구실 김정호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안승영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 김경민 신소재공학과 교수,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사진제공=KAIST

김정호 교수가 책임교수를 맡은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에는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안승영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가 참여교수로 협업한다.


김정호 책임교수는 고성능 반도체 설계 및 인공지능 공학 설계(AI-X) 분야의 대표적인 석학으로 전 세계적으로 독창성을 인정받는 5I 융합설계 원천기술을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5I 기술이란 신호선 설계(SI·Signal Integrity), 전력선 설계(PI·Power Integrity), 기계 및 열 설계(TI·Thermal Integrity), 전자파 설계(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tegrity), 구조 설계(AI·Architect Integrity) 등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분야의 융합 설계기술을 말한다.


안승영 참여교수는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위성, 국방, 초소형 의료기기 등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초고속 반도체 집적회로 패키징과 시스템의 전자파 간섭 및 전자파 적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김경민 참여교수는 자연과학, 재료공학, 전자공학을 기반으로 인간의 신체를 모방한 시스템반도체용 저항성 메모리(Memristor) 연구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고 최근에는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 패키지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들은 세대 간의 연구 협력을 통해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심화·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를 기초로 국내 시스템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시스템반도체 패키징’은 그동안 분리해 사용돼 온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하나의 반도체 안에 3차원적으로 집적하는 기술이다. 인공지능의 학습 계산 능력을 현저하게 높이고 동시에 전력 소모는 줄이는 첨단 기술이다.


기존 ‘반도체 무어의 법칙’을 이어가는 초격차 기술이자 미래 인공지능 시대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특히, 김정호 교수가 주도하는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이 분야 세계 최고의 연구실로 꼽히고 있다.


3차원 집적 패키징 기술은 슈퍼컴퓨터와 초대형 데이터 센터의 고성능 서버,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의 핵심 기술로 각종 인공지능 서비스와 메타버스와 같은 고부가가치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경쟁력 중 하나다.


3차원 고성능 이종집적 패키징(3D High Performance Heterogeneous Computing Packaging)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고성능·저전력·다기능 시스템을 구현하고 특히 이 전체 설계 과정을 인공지능 기계학습 방법으로 자동화할 계획이다.


미국 전자공학회 석학회원(IEEE 펠로우)인 김정호 교수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중에는 최초로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개소하는 영예를 얻게 됐다.



KAIST 초세대 협업 연구실로 새롭게 선정된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 장석복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박윤수·장석복·한순규 화학과 교수. 사진제공=KAIST

또 다른 초세대 협업연구실로 선정된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은 장석복 화학과 교수가 책임교수를 맡고 같은 학과의 한순규, 박윤수 교수가 참여한다.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합성 방법 개발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장석복 교수는 2015년부터 8년 연속으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에 선정됐고 2012년부터 기초과학연구원 (IBS)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을 이끌며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한순규 참여교수는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천연물 화학합성 분야의 전문가다. 특히, 한 교수 연구실은 세큐리네가 알칼로이드 합성 분야에서 세계 학계를 이끌어가는 선두그룹으로 평가받고 있다.


박윤수 참여교수는 유기화학과 무기화학 두 분야를 모두 전공했으며, 물리유기 및 금속화학 분야의 촉망받는 신진 연구자다.


이들은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통해 유기 반응 및 합성 연구 분야에서 세 가지 중심 주제 꼽히는 △합성 방법론 개발 △반응 메커니즘의 분석 및 이해 △천연물 전합성에의 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새로운 화학반응 및 촉매개발이라는 비전 아래 속도가 빠르고 선택적이면서도 화학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지속가능한 합성법을 개발하고 이를 신약 개발을 위한 천연물 합성 및 기능성 유기분자의 생산 공정에 적용하는 것이 연구 방향이다.


유기화학 전반에 대한 장석복 교수의 높은 통찰과 오랜 시간 구축해온 중요 실험 장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박윤수 교수가 보유한 물리유기화학적 실험 기법들을 적용해 새로운 화학 반응을 개발한 뒤, 이를 한순규 교수가 실제 천연물 합성 조건에 적용해 증명하는 방식으로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장 교수 연구팀의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무작위 스크리닝과 시행착오를 통한 인력투입형 유기화학반응 개발의 기존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심화된 메커니즘을 연구해 반응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촉매시스템을 설계하는 접근법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의약·재료·화학·바이오 산업 전반에 파급력 있는 반응방법 및 혁신적인 전합성을 개척하는 것이 목표다.


KAIST는 세대를 이어 지속가능한 연구혁신을 추구할 연구실을 발굴하기 위해 2022년 9월부터 BFO추천위원회(The Best, the First, the Only)의 추천과 공개 공모 절차를 거쳐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선발해왔다.


2개 연구실에는 향후 5년간 총 5억원의 운영비가 지원된다.


신규 선정된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 책임을 맡은 장석복 교수는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치며 일군 연구실 시스템을 후속 세대가 디딤돌로 삼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이번에 설립되는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통해 유기합성 분야의 중요하고 파급력 있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풀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의 김정호 책임교수는 “우리나라가 진정한 반도체 강국으로 자리 잡기 위해 꼭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분야에 특화된 연구를 실현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경쟁력 제고에도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